“서해 인공강우, 미세먼지 못 줄였다”…첫 실험 실패로

Է:2019-02-27 16:05
ϱ
ũ
출처 기상청

정부가 지난달 서해에서 벌인 인공강우 실험에서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기상청과 환경부는 27일 기상청에서 합동 브리핑을 열고 지난달 25일 서해에서 이뤄진 인공강우 실험의 자세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내륙에서는 지상 부근의 대기가 건조해 비가 내리지 않았고 장산도 등 일부 섬에서만 미세한 강우가 감지됐으며,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없었다고 기상청은 밝혔다.

지상 확산 영역으로 표시된 장산도 부근에만 미세한 강우가 측정됐다. 같은 확산 영역인 전남 영광 등에서는 강우 효과가 없었다. 출처 기상청

이날 실험이 시작된 오전 10시 이후 초미세먼지는 일시적으로 감소했지만 바람의 영향인 것으로 드러났다. 오후 2시 이후부터는 미세먼지가 외부에서 계속 유입되면서 농도가 계속 증가했다.

주상원 국립기상과학원장은 “인공강우 실험 당시 기상 항공기에 장착된 관측 장비로 구름 내부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큰 구름과 강수 입자의 수가 증가했고, 기상레이더에는 하층 구름이 발달한 것이 탐지됐다”라며 “하지만 인공강우 영향 예측지역이었던 전남 영광이나 나주 등의 내륙에서는 강우가 없어 미세먼지 낮춤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라고 밝혔다.

지난달 25일 서해에서 실시한 첫 인공강우 실험은 요오드화은 3.6㎏을 살포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인공강우는 하늘 위에 떠 있는 구름에 요오드화은이나 염화칼슘을 뿌리면 수분 입자들이 물방울로 커지면서 비로 바뀌어 내리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물방울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 화학물질은 대기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많은 전문가는 한국에서 단기간에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내는 인공강우 기술을 확보하기는 쉽지 않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반면 중국은 최근 인공지능과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인공강우 기술까지 확보한 상태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내륙보다 상대적으로 실험이 어려운 해상에서 인공강우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증우량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이 시급한 만큼 향후 지속적인 연구로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줄여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도현 객원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