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을 제외한 전 지역의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토연구원은 16일 하반기 주택 매매가격이 전국적으로 0.2% 가량 하락하는 가운데 수도권은 0.3% 내외로 상승하고 지방은 약 0.7% 하락하면서 집값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라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국토정책 브리핑’을 발간했다.
연구원은 “하반기에도 준공 물량이 꾸준히 늘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 효과로 부동산 관련 세금이 증가하고 있다”며 주택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과 수도권 공공택지 개발사업,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접경지역 개발 기대 수요 증가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국지적 호재도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주택가격이 상승할 지역으로 GTX와 월곶-판교선, 9호선 연장구간 인근 등 수도권 전철망이 확대돼 새롭게 역이 들어서는 지역을 꼽았다.
전세가격은 전체적으로 하락한다고 예측했다. 연구원은 전세 가격이 전국적으로 약 1.2% 내리는 가운데 수도권은 1.2%, 지방은 1.1% 가량 하락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택거래 역시 장기 평균(90만호)보다 5만호 감소한 85만호 전후로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인허가 물량도 50만호 내외로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주택건설 인허가 물량은 65만3000호였다.
미분양 주택 수는 공급 과잉 우려와 종합부동산세 및 임대소득세 강화, 금융규제 등으로 인해 7만호 수준에 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전체적으로 시장이 안정되고 있으나 국지적 불안 요인도 존재한다”며 “지역별 맞춤형 정책을 유지하면서 시장에 대한 모니터링 등으로 정책의 강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빈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