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핵협정 탈퇴를 선언하자 최근 급등했던 국제유가가 오히려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미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가격은 전일 대비 배럴당 1.67달러(2.4%) 하락한 69.06 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브렌트유 선물 가격은 배럴당 0.47 달러(0.6%) 떨어진 75.71 달러를 기록했다. 애초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 핵협정 파기를 공식 선언하게 되면 유가가 급등할 것이라는 관측이 빗나간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이란 핵협정 탈퇴를 전격 선언하고 이란에 대한 제재를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최고 수준의 제재를 도입할 것”이라며 “이란이 핵무기를 추구하는 것을 돕는 국가는 미국의 강력한 제재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이란 핵협정 탈퇴에 대한 우려로 급등하던 국제유가는 이번 발표 이후 오히려 안정되는 모습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신속하게 제재를 가할 것이라는 우려가 다소 줄었기 때문이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90일과 180일의 단계적 유예기간이 끝난 이후 제재를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CNBC는 미국의 이란 핵협정 탈퇴가 국제유가의 흐름에 미칠 영향은 미국이 앞으로 제재를 어떻게 이행하느냐에 달려있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선 일단 이란 핵협정 당사국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등이 미국의 ‘나 홀로 제재’에 동참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데다, 이란산 원유의 주수입국인 인도, 터키 등이 미국의 제재에 협조하지 않는다면 유가 파급은 예상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신혜지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