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나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공통의 대북 목표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가 20일(현지시간) 보도한 인터뷰에서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에 대해 “매우 비이성적이고 위험한 인물”이라고 경계했지만 남북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조건만 충족하면 평양에서 만날 수 있다”고 했다.
“평양에서 김정은 만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만난 워싱턴포스트의 랠리 웨이마우스 기자와 가장 먼저 김 위원장과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을 이야기했다. 웨이마우스 기자는 “북한에 방문하길 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선기간 중 평양에서 김 위원장을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좋은 생각이라고 보는가”라고 물었다. 문 대통령은 “조건만 충족하면 만날 수 있다”며 “좋은 생각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 대해 “비이성적이고 위험한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북한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으며 북한의 비핵화를 결정할 권한을 가진 인물”이라고 덧붙였다.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를 위해 김 위원장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의미다. 다만 “(김 위원장이)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갑자기 중단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는 무기가 없으면 정권도 없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 최우선 의제는 ‘한반도 비핵화’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말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이 회담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룰 의제로 ‘한반도 비핵화’를 지목했다. 문 대통령은 “나와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핵무기 완전 폐기라는 공통의 목표를 갖고 있다.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서는 한미 양국의 우정과 신뢰가 중요하다”며 “양국 관계가 견고하고 지속적이라는 사실을 세계에 보여주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남북관계에 대해 “미국과 긴밀한 협의에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한국이 지금 상황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해서는 “도발을 계속하면 강력한 추가 압박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하면서 “다만 비핵화를 위한 협상에 나서면 지원하겠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사드 한반도 배치는 간단한 문제 아냐.”
문 대통령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에 대해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사드 레이더와 발사대 등이 배치됐지만,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해야 한다”며 “지난 정권에서 배치가 결정됐다. 나는 성급하게 결정하지 않겠다는 점을 이미 분명히 밝혔다”고 강조했다. 다만 “환경영향평가가 배치를 연기하거나 결정을 바꾸겠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워싱턴의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전시작전통제권(OPCON) 환수 문제도 이번 인터뷰에서 거론됐다. 문 대통령은 “주권국가로서 적절한 시점에 우리 군에 대한 작전권을 환수해야 한다”며 “양국은 이미 조건이 맞으면 우리가 전작권을 환수하기로 합의했다. 전작권을 환수해도 양국은 지속해서 공동안보 체계를 갖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한일합의에 더 강력한 메시지
문 대통령은 이번 인터뷰에서 박근혜정부 때 이뤄졌던 제2차 세계대전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한일 합의에 대해 조금 더 강력한 메시지를 담았다. 문 대통령은 재협상 여부를 물은 웨이마우스 기자의 질문에 “지난 정부에서 이뤄진 일본과의 합의는 국민, 특히 피해자에 의해 수용되지 않고 있다”며 “일본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 행위(전범국 시절 성범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고 공식 사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가 전범국 시절을 분명하게 인지하고 피해자에게 직접 사과해야 한다는 그동안의 주장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 사안으로 한일 양국 관계의 진전이 가로막혀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