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근대 산업시설의 세계 문화유산 등재 추진을 두고 한·일이 두 번째 만났다. 도쿄(東京)에 이어 이번엔 서울에서의 만남이었지만, 등재 대상 중 조선인 강제노동 시설을 제외하는 문제를 놓고 서로 팽팽한 신경전만 벌였다.
양측은 9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2차 양자 협의를 개최했다. 지난달 22일 일본 도쿄에서 1차 협의를 가진 지 18일만이다. 우리 측은 최종문 유네스코 협력대표가, 일본 측은 신미 준(新美潤)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 겸 스포츠담당대사가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일본 산업시설에 조선인 강제노동이 자행된 사실을 어떻게 반영할지를 두고 양측은 줄다리기를 벌였다. 우리 정부는 유네스코 산하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가 지난달 15일 등재 결정문 원안에 “각 시설의 전체 역사를 알 수 있도록 하라”며 권고한 점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체 역사’는 일본이 등재 신청 당시 한정한 시기(1850~1910년)만이 아닌 조선인 강제노동이 집중됐던 1940년대도 포함돼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이를 표시하지 않는다면 일본이 등재를 신청한 23개 산업시설 중 실제 강제노동이 이뤄진 7곳을 제외해야 한다는 논리도 펴고 있다.
그러나 일본은 “한국이 지나치게 간섭하고 있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교도통신은 전날 “유네스코의 자문기관에서 등재 권고를 받았으며 한국이 반대하는 것은 사리에 어긋난다는 게 일본 정부의 입장”이라고 보도했다.
일본이 등재 신청한 규슈·야마구치 지역의 이른바 ‘메이지(明治) 산업혁명 유산’ 가운데 하시마(端島) 탄광 등 7곳에서 과거 약 5만8000명의 조선인이 강제 노역을 했다. 이들 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이달 28일부터 독일 본에서 열리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세계 문화유산 등재 추진’ 한일 양자협의… 팽팽한 신경전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