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과 관련한 부정확한 용어 남발이 불필요한 불안을 부추기고 있다.
충북에서는 지난 2일 의심환자가 확인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일대 혼란이 빚어졌다.
무려 36곳의 학교와 유치원이 밤늦은 회의 끝에 휴업을 결정했고, 학부모들의 요구로 학원들은 잠정 운영 중단에 들어갔다.
도교육청에는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것이 사실이냐”는 문의 전화가 밤늦게까지 빗발치면서 업무가 마비될 지경이었다.
청주를 비롯한 주요 도시의 약국에는 불안감을 느낀 구매자들이 몰리면서 마스크와 세정제 등이 동이 나기도했다.
사태의 발단은 충북의 한 초등학교 교사 A씨가 “확진 환자와 접촉한 사실이 있다”며 보건소를 찾아가 검사를 의뢰한 것이었다.
이 사람이 외부에 ‘의심환자’로 잘못 알려지면서 소동이 벌어진 것이었다.
보건복지부가 메르스 전염을 우려해 격리 대상자로 정한 사람은 크게 확진 환자, 의심환자, 밀접 접촉자로 구분된다.
확진 환자는 확진 판정을 받은 경우며, 의심환자는 ‘발열 등 메르스 의심 증상이 나타난 사람들 가운데 확진 판정을 받기 전의 환자’를 지칭한다.
밀접 접촉자는 메르스 확진·의심 환자와 가깝게 접촉한 사람을 말한다.
A씨는 지난달 23일 경기도의 한 병원에 노환으로 입원했다가 지난 2일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아버지를 병문안했다.
A씨는 열이 나거나 기침·가래 등의 증상이 전혀 없었지만 확진 환자와 접촉한 만큼 감염 여부를 가리기 위해 스스로 보건소를 찾았다.
더욱이 A씨가 병문안을 했을 때 그의 아버지는 의심환자도 아니었던 상황이어서 세 가지 유형의 격리 대상자에 해당되지 않았다.
굳이 따지면 ‘검사 의뢰자’ 또는 ‘확진 전 사전 접촉자’ 정도로 부를 수 있다는 게 보건당국의 설명이다.
A씨는 메르스를 의심할만한 징후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검사를 받자마자 귀가 조치됐다.
최종 검사 결과에서도 음성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의심환자’로 잘못 알려진 탓에 주민들의 불안이 완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충북도 관계자는 “잘못된 용어 사용으로 도민들에게 불필요한 불안감을 주지 않도록 용어 사용에 신중을 기하도록 각 기관에 통보하겠다”고 말했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검사만 해도 의심환자? … 부정확한 용어가 메르스 불안 키워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