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외과 “0.5cm 이상이면 반드시 수술, 그 이하라도 모양, 위치, 가족력 따져야”
갑상선암을 둘러싼 논란은 ‘조기검진’과 ‘수술 기준’이다. 특히 수술 기준의 가장 큰 핵심은 ‘종양의 크기’다. 몇 년 전 1cm미만이면 수술하지 말아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됐고 최근에는 0.5cm 결절을 발견하더라도 조직검사를 권하지 말자는 의견까지 도출됐다. 이 의견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심포지엄이 열렸다.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는 13일 갑상선암의 수술적 치료 권고안 제정을 위한 심포지엄을 열었다. 내분비외과학회 회원들의 주된 견해는 ‘종양이 커진 다음 수술하겠다’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다. 1부 주제발표 좌장으로 나선 박진우 충북의대 교수는 “조기발견을 통해 발견한 작은 암을 적절한 범위에서 절제한 것이 치료 핵심이다”고 말했다.
1부 발표로 정기욱 울산의대 교수의 ‘갑상선암은 모두 수술해야 하는가’는 0.5cm이하라도 전이 위험요소를 갖고 있다면 수술을 적극적으로 해야한다는 결론을 보여주었다.
정 교수는 “치료권고안 제정을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0.5cm 이상은 적극적으로 치료해야한다. 또 0.5cm 이하의 결절이라도 1대에서 갑상선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20~30대의 어린 나이, 방사선 노출 경험 등이 있다면 조직검사와 치료를 순차적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말했다.
이날 일본발 수술 논란은 잘못 전달된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박정수 연세의대 교수는 “일본에서 전해진 ‘1cm이하 갑상선암을 수술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야기는 우리나라로 건너오면서 이야기가 변질된 것”이라며 “1cm이하 갑상선암 중 경우에 따라 수술이 불필요한 경우도 있다는 것이지, 반드시 수술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특히 치료가 불필요할 수도 있다는 결론이 도출된 환자 사례는 종양의 위치, 모양, 가족력, 환경적인 요인을 모두 분석한 저위험군이었다”고 말했다.
한편 윤정한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회장은 “검진에 대한 논란과 불신이 수술 치료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졌다”며 “갑상선암 치료에 관해서 ‘수술적인 부분’은 내분비외과 전문의의 의견이 중요하다. 직접 수술을 집도하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배제되고 다른 진료과 선생님의 목소리만 실린 치료권고안은 바람직하지 않다. 오늘 심포지엄을 시작으로 일관적인 치료 권고안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학회 차원의 노력을 계속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단비 기자 kubee08@kukimedia.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갑상선암 ‘논란’ 불식 되나…내분비외과 수술권고안 심포지엄 진행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