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정치 대안 떠오른 시민단체] 등록 단체만 총 9913곳
행정안전부는 올해 9월 30일 현재 비영리 민간단체로 등록된 시민단체의 수가 9913개라고 30일 밝혔다. 2010년에는 9487개, 2009년에는 9003개였다.
그러나 미등록 시민단체를 합하면 무려 2만개가 넘는 시민단체들이 활동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시민운동정보센터가 3년마다 발간하는 ‘한국민간단체총람’에 따르면 2009년에만 2만5886개의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2006년 2만2017개, 2003년 1만8180개로 조사됐다.
시민단체의 재정은 열악하다. 회비와 후원금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다. 연간 예산 10억원이 넘는 곳은 250여 곳 정도다. 등록된 단체는 ‘비영리 민간단체 지원법’에 따라 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행안부는 올해 220개 단체에 보조금 98억7000만원을 책정했다. 올해 가장 많은 지원금을 받은 단체는 한국화장실협회, 한국장애인부모회, 흥사단, 전국모범운전자연합회 등으로 7000만원씩이다.
1989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출범은 한국 시민운동의 ‘터닝 포인트’였다. 19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 환경·소비자·여성·교육 등 각종 이슈들이 봇물처럼 터져 나오면서 시민단체들은 영역을 넓혀 갔다. 환경운동연합(93년), 참여연대(94년)의 등장으로 90년대 시민운동은 진보성향 단체가 주도했다.
김대중·노무현 정부를 거치면서 보수성향 단체들도 시민운동 영역에 뛰어들었다. 2005년에 설립된 뉴라이트전국연합이 대표적이다.
무거운 정치적 주제에서 벗어나 일상의 변화를 모색하는 단체도 늘었다. 2009년 청소년흡연음주예방협회가 생겨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흡연과 음주 예방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트롤맘 엄마순찰대’는 지난해 봄부터 전국에서 하굣길 방범활동을 벌이고 있다.
진삼열 기자 samue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