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경회의 명예회복 시동… ‘쿠데타’서 ‘역사적 자리’ 재평가

입력 2025-11-27 18:59
김선택 고려대 교수가 27일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 최규식홀에서 열린 경찰의 중립성 확보 및 민주적 통제 강화 학술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경찰청 제공

경찰이 3년 전 윤석열정부의 경찰국 신설에 반대한 총경회의 참석자 명예회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반국가·쿠데타 세력으로 내몰렸던 총경들은 이미 정부 요직에 중용되고 있다.

이들의 집단행동에 대한 평가는 180도 바뀌었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27일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 최규식홀에서 열린 ‘경찰의 중립성 확보 및 민주적 통제’ 학술 세미나에 참석해 “총경회의는 경찰국 설치로 흔들리던 경찰의 중립성과 민주성을 지키기 위한 역사적 자리였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경찰 최고위층의 이런 평가는 국민일보가 지난 8월 참석자 대상 전수조사를 했을 당시 “역사적 재평가”를 명예회복 조치 1순위로 꼽았던 총경들의 의견을 수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세미나에는 총경회의 참석자 55명 중 29명과 경찰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당시 회의를 주도한 류삼영 전 총경과 함께 이은애 경기북부경찰청 여성청소년 과장, 김종관 경찰청 인사과장, 유윤상 전 총경 등 전현직 경찰들이 대거 자리했다. 더불어민주당 동작을 지역위원장인 류 전 총경은 주먹을 쥐며 “어제의 용사들이 다시 모였다”는 구절의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총경회의 참석자들에 대한 명예회복 조치가 가시화되면서 이후 인사에 어떻게 반영될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참석자들 중에서 이미 요직에 기용된 인물들도 있다. 당시 남대문서장으로 서울청 소속 서장 중 유일하게 회의에 참석했던 김종관 과장은 회의 이후 좌천됐다가 지난 7월 현재 자리로 옮겼다. 또 다른 참석자 황정인 총경은 지난 18일 12·3 비상계엄 가담 여부를 조사하는 경찰 헌법존중 정부혁신 태스크포스(TF)의 실무팀장으로 발령났다.

올 하반기로 예정됐던 경무관 승진 인사와 총경 전보 인사는 계엄과 정권 교체 여파로 치안정감 등 고위직 인사부터 줄줄이 밀리면서 상당 기간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경찰 일각에서는 총경회의 참석자들 중 핵심 보직에 배치하는 인사가 추가로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총경회의 참석자인 채경덕 마산동부경찰서장, 이화섭 대전청 홍보담당관이 토론에 참여했다. 채 서장은 “3년여 만인 지난 8월 경찰국이 공식 폐지돼 경찰이 공평무사하게 국민만 바라볼 수 있는 상황이 된 것 같아 보람이 크다”며 “최근 수사권 관련 경찰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데 수사 경찰의 자질과 공정한 인사 시스템 등이 뒷받침돼 국민들에게 인정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최종술 동의대 교수는 “경찰의 중립성과 민주성은 상호보완 관계로서 조화를 이뤄야 한다”며 “국가경찰위원회의 실질화, 자치경찰제 도입 등 경찰의 독립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세미나가 끝난 뒤 로비에는 총경회의 전시대 제막식이 진행됐다. 전시대에는 총경회의 참석자 55명과 당시 회의에 무궁화 화분을 보내며 지지했던 경찰 등 총 364명의 이름이 명판에 새겨졌다.

아산=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