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공개매각 입찰 ‘0건’… 데드라인 ‘한 달’

입력 2025-11-27 00:20
연합뉴스

홈플러스 매각 시도가 불발됐다. 기업회생 인가 전 인수·합병(M&A) 절차를 진행하면서 공개매각에 나섰으나 본입찰 마감 시한까지 제안서를 낸 기업이 없었다. 홈플러스는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인 다음 달 29일까지 입찰제안서를 받는다고 했으나 회의적인 전망이 우세하다. 최악의 경우 청산 가능성도 거론된다.

서울회생법원은 “오후 3시 공개매각 관련 본입찰 마감 시점 기준으로 입찰서를 제출한 업체가 없음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법원은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인 다음 달 29일까지 홈플러스, 매각 주간사인 삼일회계법인, 채권자 협의회와 이해관계인들의 의견을 수렴해 진행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향후 관건은 ‘신빙성 있는 인수 의향자’가 나타나는지다. 지난달 말 인공지능(AI) 유통기업인 하렉스인포텍과 부동산 개발업체인 스노마드가 인수의향서를 제출했으나 두 업체는 모두 홈플러스를 인수하기에 재무 상태가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결국 본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정치권의 개입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있다.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가 개입하지 않으면 입찰 기한이 연기되더라도 홈플러스는 더 이상 버틸 수 없을 것이며 청산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도 홈플러스 사태 해결과 정부 개입을 촉구하며 지난 8일부터 단식 농성 중이다.

정치권에서는 한때 농협이 본입찰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지만 농협 내부에서는 홈플러스 인수에 소극적인 분위기가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적 자금이나 부채 탕감 같은 정부의 개입도 거론되지만, 공공기관이 아닌 민간 기업인 만큼 합의는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남은 건 청산 가능성이다. 전익수 법무법인 서정 대표변호사는 “대형마트 시장이 포화상태인 만큼 시장성이 떨어져 해결이 어려워 보인다”며 “결국 청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법원이 회생절차 폐지를 결정해 홈플러스가 파산하면, 직영직원과 협력업체 직원 등 10만명의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놓인다.

홈플러스는 “가장 현실적인 회생방안이 M&A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반드시 M&A를 성사시키기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오프라인유통업이 어려워졌을 뿐 아니라 MBK파트너스의 운영 실책으로 홈플러스의 매력도가 떨어졌다는 점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업계 한 관계자는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한 후 주요 알짜 점포 등을 매각하고, 벌어들인 돈으로 재투자보다는 수익으로 환원하면서 선순환 구조가 잘 이뤄지지 않은 게 패착”이라고 말했다.

신주은 기자 ju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