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이 미국 정부용 인공지능(AI)·슈퍼컴퓨터 인프라 구축에 최대 500억 달러(약 74조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한국과 중국에 이어 미국도 행정 영역에 AI 기술 도입을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이 같은 ‘AI 정부’ 전환은 행정 업무 처리 속도와 정책 개발 효율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민간 기업 AI의 영역이 정부 업무망까지 확장되면서 보안 리스크가 부각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아마존은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 아마존웹서비스(AWS)에 미국 정부 고객을 위한 1.3기가와트(GW) 규모의 컴퓨팅 용량을 추가한다고 24일(현지시간) 밝혔다. 내년부터 신규 데이터센터를 착공할 계획이며, 추가 용량은 AWS의 ‘최고 기밀’ ‘기밀’ ‘정부 클라우드’ 리전에 각각 할당된다.
미 정부 기관은 AI 인프라를 기반으로 기밀 등급별 자료 처리 업무에 AI를 활용할 전망이다. AI 모델로는 앤트로픽 ‘클로드’와 아마존 ‘노바’ 등이 도입된다. 아마존은 AI 활용을 통해 시뮬레이션·모델링 등 기존에 수개월까지 걸리던 작업을 몇 시간 안에 완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맷 가먼 AWS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투자로 정부 발전을 막아온 기술적 장벽을 제거하고 미국이 AI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정부 역시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를 개시했다. 중앙·지방정부가 다양한 민간 AI 모델과 학습데이터,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을 공동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부는 삼성SDS와 네이버클라우드의 AI 챗 서비스를 도입해 공문·회의록 작성은 물론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책 기획·의사결정까지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중국은 지난 8월 ‘인공지능 플러스’ 정책의 구체적인 로드맵을 발표했다. 2027년까지 공공 거버넌스 전반에 AI 역할을 대폭 강화하고 2035년에는 완전한 ‘디지털 중국’을 실현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행정·공공·도시 서비스를 지능화하고 재난·치안·사이버 등 공공안전 분야에 AI 활용을 확대할 방침이다.
다만 민간 AI가 국가 기밀 영역까지 접근하게 되면 해킹·정보 유출 등 보안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AI 업계 관계자는 “AI 행정은 업무 역량을 크게 끌어올릴 수 있지만 그만큼의 보안 리스크가 불가피하다”며 “전용 서버 구축을 통해 민감한 데이터를 국가가 승인한 위치에 저장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감사, 데이터 암호화, 정부 인력에 대한 보안 교육 등 전반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윤선 기자 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