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창 중국 총리와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에 서로 접촉하지 않은 채 현지 일정을 마쳤다. 다카이치 총리의 지난 7일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을 계기로 불거진 중·일 갈등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요미우리신문 등에 따르면 다카이치 총리는 23일(현지시간) G20 일정을 마치고 귀국길에 오르기 전 취재진과 만나 리 총리와 접촉이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과 다양한 대화에 문을 열고 있다. 문을 닫는 것 같은 일은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요미우리는 “양국 총리의 접촉이 실현되지 않아 상황 타개에 정체감이 감돈다”며 “사태 수습을 위한 대화가 실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중·일 대립의 장기화는 피할 수 없게 됐다”고 보도했다.
일본 외무성 관계자는 “최악의 경우 수년간 대립이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아사히신문도 “일본 측이 모색하던 의사소통이 실현되지 않아 양국 간 대립 장기화를 피할 수 없게 됐다”고 전했다.
중국과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다카이치 내각에 대한 일본 내 지지율은 고공행진 중이다. 요미우리가 21~23일 전국 1054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다카이치 내각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72%로, 10월 조사 때(71%)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중국 관영 신경보는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중·일 갈등 장기화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다. 천양 랴오닝대 일본연구센터 객원연구원은 향후 중·일 관계에 대해 일본의 도발 지속에 따른 전면적 대립, 제한된 타협 후 저신뢰 상태에서 공존, 다카이치의 대만 발언 철회 후 방어 중심 안보전략 복귀 등 3가지 시나리오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 중 제한된 타협 이후 저신뢰 상태에서 정치·경제적으로 냉랭한 교착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며 “일본 기업의 대중국 신규 투자와 양국의 첨단 산업 협력은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베이징에서 중·일 관계를 연구하는 학자는 익명을 전제로 가진 대만 중앙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당분간 강경한 발언을 계속하겠지만 사태 수습은 어렵지 않을 것”이라며 “점차 희석될 수도 있고 외교 협상을 통해 원칙적 합의를 도출한 뒤 각자 이해에 맞게 해석하면서 ‘양측 모두 양보하지 않았다고 여기며 자국민에게는 상대가 물러섰다고 설명하는’ 방식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