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리더급 국가과학자’ 100명을 선정해 국가적 차원의 특별의전을 제공하고 성장 가능성이 큰 박사급 ‘젊은 국가과학자’도 매년 수백명씩 선발해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글로벌 인공지능(AI) 경쟁의 선봉에 설 인재 발굴·양성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취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과학기술 인재 확보 전략과 연구개발(R&D) 생태계 혁신, AI 대전환을 위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정부의 과학기술·AI 정책을 총괄하는 범부처 컨트롤타워인 과기장관회의가 4년 만에 부활한 것이다.
정부는 우선 국내 인재 양성과 처우 개선을 위해 국가과학자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업적을 보유한 과학자·공학자를 리더급 국가과학자로 선정해 매년 한 차례 대통령과의 대면 대화, 공항 출입국 패스트트랙 적용 및 귀빈실 이용, 인당 연 1억원의 지원금 등 영예성 지원을 제공한다. 이들은 국가 R&D 계획·제도 설계 등에도 참여한다. 리더급 국가과학자는 과학기술 전 분야에서 해마다 20명을 선정해 2030년까지 모두 100명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성장 가능성이 큰 젊은 국가과학자도 매년 수백명 선정한다. 박사학위 취득 7년 이내 연구자를 대상으로 하며 대통령 펠로십과 지원금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해외 인재의 경우 2030년까지 2000명을 유치하되, 이 중 70%는 재외한인 과학자로 채운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이공계 성장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국가장학금·연구생활장려금을 확대하고 주거부담도 완화할 방침이다. 상위 1% 연구자에게는 파격 인센티브를 도입하고 분야별 석학을 선정해 정년 후 연구 지속을 돕는 ‘석학 지원 사업’도 실시한다.
R&D 생태계 혁신도 가속화한다. 연구자가 목표 달성 실패를 우려해 쉬운 연구를 하도록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았던 기존의 형식적 R&D 평가 등급제는 폐지된다. 대신 성실한 수행에 따른 연구 완료 여부만 평가하기로 했다. 또 연구자와 함께 과제를 수행하는 ‘AI 연구동료’도 도입한다. 가설 생성부터 결과 분석까지 연구 전 과정을 진행하는 AI를 개발하고, 이를 주요 6대 분야 AI 파운데이션 모델과 연계해 박사급 AI 연구동료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전 국민이 일상에서 AI 서비스의 효능감을 느낄 수 있도록 ‘AI 민생 10대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대표적으로 ‘AI 농산물 알뜰소비정보 플랫폼’을 구축해 농산물 가격 동향 및 최적 구매처를 제공할 예정이다. 국세 정보 상담, 경찰 민원, 보이스피싱 대응, 아동·청소년 위기 대응 등 공공 서비스에도 AI를 도입한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AI는 우리 경제의 혁신을 촉진할 새로운 성장 엔진이자 국가 대전환의 강력한 동인”이라며 “모두를 위한 AI라는 비전 아래 혁신의 성과가 골고루 확산하도록 전 부처가 합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양윤선 기자 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