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약 53만 가구로 집계되며 201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서울에 집을 보유한 30대 가구는 4명 중 1명 수준에 그쳤다. 이에 무주택 가구와 주택소유 가구 간 규모 차이가 3배 가까이 벌어지며 격차가 최대치를 기록했다.
24일 국가데이터처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지난해보다 1만7215가구 늘었다. 이 수치는 2015~2018년까지 줄어들다가 문재인정부 시절인 2019년 반등한 뒤 증가 폭이 확대됐다. 지난해엔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반면 서울에 집을 보유한 30대 유주택 가구주는 줄었다. 2015년 23만7052가구였던 30대 유주택 가구는 지난해 18만3456가구까지 줄어들며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 기간 유주택 가구가 증가한 해는 2021년(전년 대비 4202가구 증가) 단 한 번뿐이었다. 지난해 무주택 가구는 유주택 가구의 2.9배에 달하며 격차도 역대 최대치로 벌어졌다.
이에 따라 서울 30대의 주택 소유율도 25.8%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 비율은 2015년 33%대에서 2022년 29%대로 내려앉은 데 이어 지난해 처음으로 25%대로 진입했다. 특히 전국 30대 주택 소유율(36%)과 비교해도 10% 포인트 이상 낮아 서울에서 주택을 소유한 30대 비율이 유독 낮았다. 급등한 서울 집값에 정부의 대출 규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서울에서 30대의 내 집 마련 여건이 나머지 지역보다 좋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