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부망에서도 민간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는 중앙·지방정부가 내부망에서 민간 AI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4일 밝혔다. 지금까지 민간 AI 서비스는 내부 행정 데이터 유출 위험 등 보안 우려 탓에 정부 업무 전반에 활용하는 데 제약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민간의 다양한 AI 모델과 학습 데이터,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을 중앙·지방정부가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정부부처 공무원들이 내부 행정업무부터 공공서비스까지 다양한 AI 기술을 업무 전반에 적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공개된 행정문서와 데이터를 AI 모델과 연계해 AI 챗봇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복잡한 용어나 절차를 몰라도 필요한 서비스나 혜택을 찾아주는 ‘정부24+ 지능 검색’ 서비스도 다음 달 도입된다. 여기에는 삼성SDS와 네이버클라우드 서비스가 활용된다.
내년에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통해 선정되는 AI 모델도 범정부 AI 공통기반에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시범운영 이후 내년 3월부터 전체 중앙·지방정부로 서비스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