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전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당대표에 복귀했다. 지난해 12월 12일 대법원의 유죄 확정판결로 의원직을 자동 상실한 지 346일 만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과 검찰청 해체로 반윤·반검 정치 동력을 상실한 상황에서 어떤 기치를 내거느냐가 최대 관건이다. 존재 가치를 입증하지 못한다면 20대 총선에서 38석 돌풍을 일으켰으나 정치 지형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사라진 국민의당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조 대표는 23일 충북 청주 오스코에서 열린 혁신당 전국당원대회에서 주권당원과 전국대의원 투표 합산 결과 신임 대표로 선출됐다. 조 대표는 단독 입후보해 찬반으로 치러진 투표에서 98.6%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함께 3기 지도부를 구성할 최고위원으로는 신장식·정춘생 의원이 당선됐다. 전체 선거인단 4만4517명 중 2만1040명이 참여해 투표율은 47.1%를 기록했다.
당선 확정 직후 마이크를 잡은 조 대표는 더불어민주당과 다른 독자 노선을 걷겠다며 ‘국민 중심 큰 정치’ 기치를 내세웠다. 그는 “팬덤에 의존하는 정치는 하지 않겠다”며 “혁신당은 당원주권과 국민주권이 조화롭게 실현되는 정당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생 개혁정당으로서 정책을 통해 사회권 선진국을 구현하겠다고도 덧붙였다. 특히 토지공개념 입법화, 행정수도 이전, 보유세 정상화 등을 제안하며 주거권 보장에 방점을 찍었다. 정권 심판·검찰 개혁 구호가 효력을 다한 상황에서 민생 정책 정당의 면모를 강조한 것이다.
조 대표를 필두로 한 혁신당 3기 지도부는 구성과 동시에 시험대에 올랐다. 수감생활과 당내 성비위 등 논란에도 압도적 지지를 확인한 점은 긍정적이나 대외 여건이 녹록지 않다는 평이다. 12석의 의석수가 무색하게 3% 수준에 정체된 당 지지율(지난 21일 발표 한국갤럽 조사)이 그 방증이다.
전문가들은 내년 지방선거를 분수령으로 꼽는다. 무엇보다 민주당과의 차별화로 정당의 존립 근거를 입증해야 한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민주당 2중대’ 이미지로는 한계가 분명하다”며 “민주당을 따라가 버리면 지선에서 국민이 혁신당을 찍을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 대표도 대표 수락연설에서 민주당을 향해 목소리를 높였다. 대선 당시 야4당과 선거연대를 하며 약속했던 결선투표제 도입, 원내교섭단체 기준 정상화 등 합의를 이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 대표는 “민주당 지도부가 계속 정치개혁 추진을 회피한다면 개혁 야당들과 정치개혁 단일 의제로 ‘원포인트 국회 공동교섭단체’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지금이 개헌의 적기”라며 “즉각적인 ‘국회 개헌연대’를 구성하고 내년 6월 지방선거와 지방분권 개헌 동시 투표를 실시하자”고 주장했다. 조 대표는 신임 사무총장에 이해민 의원, 정책위의장에 김준형 의원을 각각 임명했다.
청주=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