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日, 양안 상황 개입하면 자위권 행사”

입력 2025-11-23 18:46 수정 2025-11-23 18:47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에 따른 중·일 관계 악화로 일본을 찾는 중국인이 급감하는 가운데 22일 중국인 관광객들이 도쿄 긴자의 상점가를 걷고 있다. AFP연합뉴스

중국이 대만 문제에 대한 일본의 무력 개입은 침략 행위라며 자위권 행사를 경고했다. 일본이 내년 초 개최를 추진하던 한·중·일 정상회의는 중국의 거부로 무산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에 대한 중국의 반격이 날로 거세지는 모양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푸충 유엔 주재 중국대표부 대사는 21일(현지시간)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에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을 설명하며 이같이 경고했다.

푸 대사는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이 “일본이 대만 문제에 군사적으로 개입하려는 야심을 처음으로 드러낸 것이자 중국의 핵심 이익에 공개적으로 도전하며 중국에 무력 위협을 가한 첫 사례”라며 “매우 잘못되고 위험하며 그 성격과 영향이 극히 악질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일본이 감히 양안(중국과 대만) 상황에 무력 개입을 시도한다면 침략 행위가 될 것”이라며 “중국은 유엔 헌장과 국제법에 따라 자위권을 단호히 행사해 주권과 영토 완전성을 확고히 수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서한은 유엔총회의 공식문서로 전체 회원국에 배포된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이 지난 2주간 이어진 일본과의 분쟁에서 “가장 강경한 언어로 자국 방어를 다짐했다”고 전했다.

주일 중국대사관은 21일 엑스에서 “유엔 헌장에는 ‘적국 조항’이 있다”며 “독일·이탈리아·일본 등 파시즘·군국주의 국가가 다시 침략적인 행동을 취하면 중국·프랑스·미국 등 유엔 창설국은 안전보장이사회 허가 없이 직접 군사 행동을 할 권리를 보유한다고 규정돼 있다”고 밝혔다. 주필리핀 중국대사관도 엑스를 통해 “다카이치 총리는 무모한 발언으로 대만 해협에 대한 군사 개입 가능성을 시사했다”며 “중국은 반드시 반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22일 ‘종성’ 칼럼에서 “다카이치 총리가 ‘존립 위기’를 과장하면서 실질적으로는 군사적 규제를 풀고 개헌과 군비 확장을 위한 구실을 찾고 있다”며 “이처럼 위험한 움직임은 전후 국제 질서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며 일본 국민을 다시금 전쟁의 위험에 처하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본 교도통신은 이날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일본 정부가 내년 1월 한·중·일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방안을 한국과 중국에 타진했지만 중국이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은 한·중·일 정상회의 의장국으로 당초 연내 정상회의를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임시국회 일정 등을 고려해 내년 1월 개최 방안을 조율해 왔다.

하지만 중국은 외교 경로를 통해 관계국에 “다카이치 총리가 적절히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회의에 응할 수 없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2008년 12월 일본에서 처음 열린 이후 일본·중국·한국 순으로 의장국을 맡아 개최하고 있지만 외교 갈등으로 중단되곤 했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