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1인 1표제’ 전 당원 여론조사와 내란전담재판부 도입을 두고 당심 분화가 가속화하는 모습이다. 1인 1표제에 대해 원내외 친명(친이재명)계에서 반발하고 나섰고, 내란전담재판부는 당 강경파의 조급증 속 지도부가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들 사안은 내년 지방선거와 전당대회를 앞두고 각 세력의 정치 셈법에 따른 사전 포석 성격을 갖고 있어 조율이 쉽지 않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의 리더십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다.
민주당에선 사실상 대의원제를 폐지하는 1인 1표제 도입을 두고 내홍이 이어지고 있다. 지도부 내 공개 반발에 이어 친명계를 중심으로 비판이 지속되고 있다. 이재명 대표 시절 사무부총장을 지낸 강득구 의원은 23일 페이스북에 “1인 1표제를 도입한다는 이유로 전국 정당 기반을 유지하는 보완장치(대의원제)의 취지까지 없애버리는 건 당의 역사와 정체성을 훼손하는 졸속 개혁”이라고 비판했다. 윤종군 의원 또한 페이스북에 “1인 1표제는 당세 확장을 저해하며 동진 확장 전략에 배치된다”고 썼다.
이 같은 비판은 당 안팎에서 줄곧 표출돼 왔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지난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1인 1표제를 골자로 한 당헌·당규 개정안이 의결되자 “과반에 가까운 상당수 최고위원이 우려를 표하고 숙의를 원했다”고 주장하며 의결 과정이 ‘졸속 강행 처리’라고 지적했다. 대표적 원외 친명 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도 이튿날인 22일 논평을 내고 “권리당원의 압도적 다수인 83.19%가 여론조사에 불참했음에도 압도적 찬성이라는 지도부의 자화자찬이 낯뜨겁다”고 비판했다.
정 대표는 그러나 1인 1표제를 강행할 뜻을 분명히했다. 이날에만 세 차례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여당은 여당답게 국정을 이끌어야 한다” “1인 1표제는 더 미룰 수 없는 당내 민주주의 과제”라고 강조했다.
내란전담재판부는 지도부의 신중론과 달리 법사위 중심으로 신속한 도입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다. 전현희 수석최고위원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내란전담재판부 도입을 다시 촉구했고, 김용민 의원은 앞서 “당 지도부가 빠른 결단을 하지 않아 답답하다”고 공개 비판했다. 이들이 지도부와 상의 없이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에 반발하는 검사장을 대거 형사고발하자 김병기 원내대표는 “뒷감당은 거기가 하라”며 격노한 바 있다.
대통령실은 강경 일변도의 민주당과 거리를 두는 모양새다. 1인 1표제 도입 잡음을 두고 외교 일정으로 바쁜 이재명 대통령을 ‘엮지 말라’는 뜻을 드러냈다. 한 친명계 여권 관계자는 “여당일 때와 야당일 때는 상황이 다르다”며 “당원 반발도 상당히 강해 좀 더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우려했다. 내란전담재판부를 두고는 “내란전담재판부가 이 대통령이 원하는 개혁 방향이었다면 이미 추진이 되지 않았겠느냐”고 강조했다.
한웅희 이동환 기자 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