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내달 중순부터 청와대 순차 복귀

입력 2025-11-23 18:48
대통령실이 12월 둘째주부터 청와대로 순차 이전할 계획인 가운데 23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정문 앞에서 방역 작업이 한창이다. 연합뉴스

대통령실이 다음 달 중순부터 시설·보안점검 상태와 부서별 준비 상황에 맞춰 청와대로 순차 이전한다. 마지막까지 복귀 여부가 불투명했던 경청통합수석실은 청와대와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을 함께 쓰는 이원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민원을 가까이에서 듣고 신속히 대응하라는 이재명 대통령 지침을 반영하면서도 내부 업무 효율성을 높이려는 조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아직 마무리해야 할 시설·보안 공사 등이 남아 있어 청와대 이전은 12월 둘째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이라고 23일 밝혔다. 이에 따라 2주차에는 회의 시설이나 장비 등을 옮기고, 3주차부터는 각 수석·비서관실이 청와대로 이전을 시작한다. 4주차엔 국가위기관리센터와 보안시설, 대통령 집무실 등을 이전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대통령 관저는 보수 상황에 따라 내년 상반기로 미뤄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시민사회와의 면담이나 별도 행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창성동 별관 일부 공간 사용을 요청해 놓은 상태다.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각종 시민단체·종교계와의 소통, 공공 갈등 조정, 민원 대응 등 외부 접촉이 잦은 특성상 청와대 내부에만 사무공간을 둘 경우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어 별도 공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청통합수석실은 여러 수석실과 협업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청와대 밖에만 사무실이 있으면 고립돼서 일 추진이 어렵다”며 “외부에 민원인을 만나는 별도 공간을 두더라도 핵심 업무는 청와대 안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대통령실은 청와대 이전 과정에서 예산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국회예산정책처가 지난 1일 국회에 제출한 예산안 자료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청와대 복귀 관련 예비비 161억5800만원을 배정받아 집행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일단 예비비 161억원, 관저 공사에 30억원 정도 소요될 예정”이라며 “시설비도 지난해보다 10억원가량 줄여 불필요한 예산이 집행되지 않도록 최대한 아껴 사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이 청와대 복귀 절차에 돌입하면서 용산 대통령실 건물의 본래 주인이던 국방부도 옛 청사로 돌아갈 채비에 나섰다. 국방부는 합동참모본부와의 청사 재배치를 위해 내년도 예산에서 238억6000만원을 증액해 달라고 국회에 요청했다. 국방부는 대통령실이 용산에 들어선 뒤 인접한 합참 청사로 이전했고, 3년 넘게 합참과 한 건물에서 동거 중이다.

윤예솔 송태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