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 직후 벌어지는 대입 난맥상은 주로 수능 뒤 성적이 나오는 3주 사이에 발생하는 불확실성이 원인이다. 수시 대학별고사에 앞서 수능 성적을 통보하면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다.
대안으로는 수능과 대학별고사 일정을 조정하고 수능 채점 기간을 줄이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수능을 일주일 앞당기고, 대학별고사를 일주일 늦추고 채점 기간을 3주일에서 2주일로 압축하는 식이다. 이럴 경우 올해는 지난 6일 수능을 보고 20일 성적표를 받아 22일부터 대학별고사를 치르는 일정이 된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수능을 앞당기면 일선 고교들이 반발한다고 걱정한다. 수능을 끝낸 고3 교실은 관리가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채점 기간 단축도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교육부는 이의신청과 정답 확정에 최소 2주일, 채점에 일주일이 필요하다고 본다. 문항 오류 가능성이 제기되면 전문가 자문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차선책으로는 수능 당국이 가채점해주는 방식이 있다. 정답 확정 절차는 그대로 진행하되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이 잠정 정답을 토대로 가채점 결과를 주고 3주일 뒤 정식 성적표를 배포하는 것이다. 이렇게만 해도 사교육 의존을 줄일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해 지난 2018년 성기선 당시 평가원장이 가채점 공개를 추진했지만 교육부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당시 교육부의 반대 논리는 평가원 가채점과 실제 성적이 달라질 경우 혼란이 크다는 이유였다. 교육부 관계자는 23일 “틀릴 가능성이 있는 평가원 가채점을 정부가 수험생에게 줄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잘라 말했다. 한 입시 전문가는 “교육부의 이런 입장은 대학과 평가원, 교육부 입장을 고려한 것”이라며 “수험생 입장에서는 평가원 가채점을 받으면 사교육 컨설팅 의존도가 크게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도 현 수능 일정상 ‘깜깜이’ 지원을 피할 수 없다는 점을 부인하지 않지만 개선책도 마땅치 않다는 입장이다. 현재 2028학년도 이후 대입 제도는 확정된 상태다. 다음 개편은 빨라야 2032학년도다. 현재 초등 고학년이 수험생이 될 때까지 현재의 난맥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