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당대표와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모두에게 동일한 투표권을 부여하는 이른바 ‘1인 1표제’ 도입이 탄력을 받게 됐다.
대의원보다 권리당원의 지지세에 힘입어 대표로 뽑힌 정청래 대표를 둘러싼 ‘연임 포석’ 논란이 있었지만 당심은 일단 정 대표 손을 들어줬다. 하지만 전 당원 투표 참여율이 16%대로 저조해 대표성을 인정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대구·경북(TK), 부산·경남(PK) 등 험지 소외 논란도 커지고 있어 보완 여부가 관건으로 떠올랐다. 집단적 숙의(熟議) 대신 강성 지지층에 좌우되는 집권여당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더불어민주당이 19~20일 당헌·당규 개정안에 대한 당원 의견 수렴 전 당원 여론조사 결과 1인 1표제 찬성률은 86.81%로 집계됐다. 기존에 국회의원과 지역위원장 등 대의원 표에 줬던 가중치를 없애 당원 표와 1대 1로 동등하게 하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당내에는 대의원과 당원에게 1표씩을 부여하는 이번 당헌·당규 개정 방향에 반대 기류도 적지 않다. 민주당 험지나 당내 소수파 의견은 점점 더 묻히는 반면 당원이 많은 호남이 과대 대표하거나 강성 지지층이 권력화하면서 숙의 정치가 실종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TK의 민주당 일부 지역위원장도 지도부에 1인 1표제 반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김기표 의원은 KBS 라디오에 출연해 “대세는 1대 1로 가는 것”이라면서도 “다만 대의원 제도는 험지라고 하는 영남이나 이런 데 어떤 의견을 (표명)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서 존재 의의는 있다”고 밝혔다.
권리당원 100% 투표로 지방선거 기초·광역 비례대표를 선출하는 방안과 경선 후보자가 4명 이상일 경우 권리당원 100% 투표로 예비경선을 하는 방안에 대한 찬성률은 각각 88.50%, 89.57%로 나타났다.
민주당 당헌·당규 개정안은 당무위원회·중앙위원회 의결을 거쳐 확정된다. 당 안팎에서 반대 목소리가 커 당무위 및 중앙위 의결 단계에서 이견이 분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40대 후반 권리당원은 “정 대표를 지지하지만 당원 인기투표 분위기보다는 대의원과 적당히 힘의 균형을 맞추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인기인 뽑기가 자리 잡으면 숙의 정치는 사라지고 ‘사이다패스’ 정치인만 남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민주당은 내년 6·3 지방선거 공천 규정 개편 작업에도 한창이다. 민주당이 각 의원실에 회람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공직선거 후보자추천 심사기준 및 방법(안)’에 따르면 내년 지방선거에 청와대(대통령실) 수석비서관 등 차관급 이상 정무직 공무원과 청년·여성·중증장애인과 경선하는 정치 신인에게 가산점 10%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여성·청년·중증장애인 중 전현직 국회의원·지방자치단체장·지역위원장 등과 맞붙는 정치 신인에게는 20% 가산점을 부여하도록 설계됐다.
김혜원 한웅희 기자 ki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