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대구경북 민·군 통합공항’(TK공항) 사업의 마지막 불씨를 살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올해 말까지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면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대구시는 TK공항 재원 확보를 위해 정부에 공공자금관리기금(공자기금) 융자와 금융비용 국비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대구시는 올해 초 11조5000억원 규모의 군공항 관련 공자기금을 기획재정부에 요청했다. 내년도 사업 첫 예산으로 2795억원이 필요했지만 예산에 반영되지 않았다.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는 민간공항 설계비와 보상비 등 318억원만 반영됐다.
이런 상황이면 TK공항 사업 진행이 어렵다. TK공항 사업은 2026년 착공, 2030년 개항이 목표였다. 하지만 이 사업의 핵심인 공자기금 확보가 지연되면서 개항 목표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을 맞았다.
최근 사업 장기화를 우려한 대구 군위군이 주민 피해를 주장하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요구했기도 했다. 위기를 느낀 대구시가 하루라도 빨리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정부와 국회에 국비지원을 계속 요청하는 것이다.
공자기금은 정부의 돈을 빌려 사업을 시작하고 이후 개발 수익으로 갚는 방식으로 TK공항 사업 지속 여부를 결정할 중요한 사안이다. 대구시는 2023년 4월 TK신공항 특별법 통과 후 민관공동개발사업 특수목적법인(SPC) 구성 방식을 검토했지만 경기 침체로 민간 사업자를 구하기가 어렵게 되자 공자기금 활용으로 사업 방향을 바꿨다.
시는 최근 대구를 찾은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TK공항 공자기금 2795억원 융자와 2026년도 금융비용 87억원 반영(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정 대표는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구 타운홀 미팅 때 TK공항에 대해 정부 지원이 실현 가능하도록 적정한 지원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시는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에서 관련 예산이 복구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행정부시장)은 “TK공항은 지역의 미래 성장기반 마련에 필요한 핵심 과제”라며 “본격적인 추진을 위해 국가 차원의 결단과 국회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대구시는 기존 사용하던 대구경북신공항 명칭도 대구경북 민·군 통합공항으로 바꿔 부르고 있다. 민간공항과 군공항을 이전하는 사업이 신공항 용어 때문에 마치 기존에 없던 새로운 공항을 짓는 사업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