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동작구 노량진 재정비촉진지구 8개 구역 전체를 2027년까지 착공하는 것을 목표로 지원에 나선다. 2031년 모두 준공되면 노량진 일대는 1만세대 규모의 한강변 대표 주거단지로 거듭나게 된다. 서울시는 2031년까지 한강벨트에 19만8000세대를 공급할 방침이다.
오세훈(사진) 서울시장은 19일 노량진 6구역을 찾아 “이 사업장은 전임 시장 시절 뉴타운 출구 전략으로 주민 간 갈등이 있었다”며 “이는 공정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줘 사업이 늦어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 임기 때 규제 혁신안이 적용돼 사업에 속도가 나기 시작했다”며 “3~4년 뒤쯤 이곳에 1500세대가, 2031년까지 노량진 전체에 1만세대가 들어온다”고 강조했다.
노량진 재정비촉진지구는 2003년 2차 뉴타운에 지정됐다. 이후 2009~2010년 8개 사업장이 모두 정비구역에 지정됐다. 현재 6·8구역은 착공했고 2구역은 다음 달 첫 삽을 뜬다. 4·5·7구역은 이주·해체, 1·3구역은 관리처분계획 신청 단계에 있다.
서울시는 1~8구역이 공사비 상승으로 갈등을 겪지 않게 사전 모니터링하고 갈등이 생기면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중재할 방침이다. 기준 용적률 10% 추가 상향, 상한 용적률 1.2배 확대 등 규제 혁신안을 적용해 사업성도 개선한다.
한편, 오 시장과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13일 면담에서 개설하기로 약속한 국장급 소통 채널도 20일 개통된다. 오 시장은 “내일이 서울시와 국토부의 첫 국장급 회동 날”이라며 “10·15 대책으로 주민분이 이주비, 분담금을 우려한다. 정부와 협의해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더불어민주당이 ‘신속통합기획 착공이 없다’고 서울시의 재개발·재건축 정책을 공격한 것에 대해선 명백한 거짓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새로 구역 지정이 되면 집 허물고 새로 짓는 데 10년 이상 걸린다”며 “착공 실적이 없다고 국민에게 의도적으로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신통기획 말고는) 지난 4년 동안 84개 구역에서 7만세대가 착공했다”고 덧붙였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