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양주·남양주 공공병원 설립을 위한 타당성 검토를 점검하며 예타면제 필요성과 사업 추진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18일 도청에서 열린 ‘경기 동북부 공공병원 설립 타당성 및 민간투자 적격성 조사’ 중간보고회에서 양주와 남양주 주민들이 보여준 공공의료에 대한 열망을 언급하며 “공공의료는 국방·치안·소방처럼 공공재이기 때문에 비용·편익 중심의 예타 기준으로 접근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특히 민생투어 중 두 지역 공공병원 설립 예정부지를 직접 방문해 주민들과 만났던 경험을 소개하며 “현장에서 갈증과 필요성을 절감했다. 하루라도 빨리 실현될 수 있도록 모두가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도는 현재 남양주시 호평동 백봉지구(3만3800㎡)와 양주시 옥정신도시(2만6500㎡)에 각각 300병상 이상 규모의 혁신형 공공의료원 설립을 추진 중이다.
연구용역을 수행 중인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이날 지역 기초현황, 진료권 분석, 병상 수요 추정, 기능 설정, 진료계획 등을 바탕으로 한 중간 결과를 보고했다.
조사에 따르면 의정부권(의정부·양주·동두천·연천)과 남양주권(남양주·구리·양평·가평) 모두 응급의료 확충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양주는 심뇌혈관센터, 남양주는 소아응급센터 설치 필요성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 관계자는 19일 “내년 2월 연구용역 최종보고가 완료되면 보건복지부와 예타 협의에 착수해 동북부 지역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의료·돌봄 통합형 ‘혁신형 공공병원’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