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6일 한·미 조인트 팩트시트 발표 후 처음 재계 총수들을 만나 “(협상 타결은) 전적으로 기업인 여러분의 헌신과 노력 덕분”이라고 사의를 표했다. 동시에 “국내 투자에 더 마음을 써 달라”고 주문했다. 주요 그룹들은 이 자리에서 총 833조원 규모의 국내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 등과 용산 대통령실에서 만나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를 진행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대미 투자가 너무 강화되면서 국내 투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하는데, 그 걱정이 없도록 여러분이 잘 조치해 주실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가급적 국내 투자에 지금보다 더 마음을 써 주시고, 특히 그중에서도 지방의 산업 활성화를 위해 더 많은 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대기업들도 대규모 국내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이 대통령 주문에 화답했다. 이 회장은 “관세협상 타결로 우리 기업들이 크게 안도하고 있다”며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기업들은 후속 작업에도 차질이 없도록 정부와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5년간 6만명 채용 계획과 연구·개발(R&D)을 포함한 450조원 규모의 국내 투자를 약속했다. 이 회장은 특히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는 수도권 이외 지역에 짓는 걸 원칙으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2028년까지 128조원의 국내 투자를 계획했었지만 투자비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얼마가 될지 추산이 어렵지만, 용인 팹(반도체 클러스터)만으로도 약 600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어질 것”이라고 소개했다. 최 회장은 증설 속도에 따라 2029년까지 최소 1만4000~2만명의 고용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까지 총 125조원의 국내 투자와 내년 1만명 채용을 약속했고, LG그룹도 향후 5년간 100조원의 국내 투자 계획을 밝혔다. 한화그룹은 미국 내 조선소 인수와 신규 조선소 건설을 동시에 추진하며 국내 조선업·방위산업 분야에 향후 5년간 11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HD현대와 셀트리온도 각각 15조원과 4조원의 국내 투자를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규제 완화·해제·철폐’로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기업 활동을 하는 데 장애가 최소화되도록 총력을 다할 생각”이라며 “규제 완화 또는 해제, 철폐 중에서 가능한 것이 어떤 것이 있을지 실질적으로, 구체적으로 지적해 주시면 신속하게 정리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다만 “제가 세금 깎아 달라는 얘기는 별로 안 좋아한다”며 “세금을 깎아가면서 사업을 해야 할 정도면 사실 국제경쟁력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동시에 임금 인상과 고용안정성 확보에 대한 사회적 대타협도 요구했다.
최승욱 윤예솔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