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15년 만에 증가

입력 2025-11-16 18:31
벼 수확(광양) 전남도 제공

전남도는 친환경농업직불금 단가 상승과 친환경 벼 공공비축미 전량매입, 쌀 생산조정제, 친환경 벼 신규 재배 확대 등으로 10월말 현재 전남지역 친환경 농산물 인증면적이 3만5328㏊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지난해 말(3만4294㏊)보다 1034㏊ 늘어난 것으로, 인증면적 증가는 2009년 이후 15년만이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 11일 전남도농업기술원에서 도·시·군 친환경농업 담당 공무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친환경농산물 인증대책 회의를 열어 동계작물 재배 시 화학비료 살포 금지 등 인증 취소 방지 대책을 논의했다.

친환경농산물 인증 취소는 논두렁 제초제 살포, 유기농필지 동계작물 재배지 화학비료 살포, 병해충 방제 시기 합성농약 사용 등이 주요 요인이다.

도는 인증 취소 방지대책으로 ‘논두렁 조성 효율화 지원사업’ 시범 추진, 헤어리베치 등 두과 녹비작물(양분과 유기물 공급) 공급 확대 등에 나서고 있다. 또 친환경 벼 인증농가 타인 임대 금지, 공시된 유기질비료 등 유기농업자재 사용 등을 당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친환경 육묘상자 처리제 사용과 인증기준에 맞지 않는 농자재 사용 금지, 출하 전 친환경농산물 잔류농약 검사 의무화 등 안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김영석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인증 취소 방지 대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실행력을 높이고 친환경농업 단지화와 집적화, 인증품목 다양화를 통해 유기농 중심의 친환경농업 확산에 노력하겠다”며 “소비자가 신뢰하는 건강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등 안전성 관리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