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및 일부 기술주로의 투자 쏠림이 자산 거품 위험을 키울 수 있다는 국책연구원 경고가 나왔다. 이러한 악재가 현실화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은 당초 전망치보다 0.1% 포인트 오른 3.0%로 예측됐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대외연)은 11일 발표한 ‘2026년 세계경제 전망’에서 내년 세계 경제가 3.0% 성장할 것으로 관측했다. 지난 5월 전망치에서 0.1% 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대외연이 내놓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와 같다. 미국발 관세정책의 부정적 파급효과가 제한적이고 주요국 수출과 내수가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는 판단이 반영됐다.
국가별로 미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은 1.6%, 일본은 0.6%, 중국은 4.2%로 제시됐다. 미국은 직전 전망치와 같고, 일본과 중국은 각각 0.2% 포인트 상향됐다.
다만 미국발 통상 불확실성, AI 등 기술 투자 쏠림, 재정 여력 약화 등 3가지 리스크가 나타날 경우 3%대 성장이 어려울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대외연은 특히 AI 등 일부 기술주 시장으로의 ‘투자 붐’에 따른 자산 거품 위험을 경고했다. AI 등 기술 분야 투자가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경우 관련 자산 가격이 급격히 조정되면서 실물경제 전반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윤상하 대외연 국제거시금융실장은 “기술주 시장 쏠림이 중장기적으로 기업 이익을 증대시키고 경제 전반의 생산성을 올린다면 다행이지만 그렇다 해도 높은 집중도 탓에 작은 충격에도 시장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대외연은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응하며 늘어난 정부 부채도 리스크로 지적했다. 윤 실장은 “정부 재정 여력이 축소되면 위기 시 투자자 신뢰가 떨어져 국채금리가 급등하고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는 재정 위기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1450원대를 오르내리는 원·달러 환율의 향후 하락 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윤 실장은 “한국의 세계 국채지수 편입 효과, 국내 자산시장 투자 매력도 개선 등은 원화 강세 요인”이라면서도 “(연간) 약 200억 달러의 대미 투자가 예정된 점, 해외 증권투자가 많이 늘어난 점 등이 맞물려 원화가 하락하더라도 그 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내년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1.8% 수준으로 전망되는 것을 두고는 “올해 성장률이 낮은 편이어서 기저효과를 고려하면 완전한 회복 국면으로 보기는 어렵다”며 “반등 단계로 평가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고 밝혔다.
세종=김윤 기자 k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