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는 2026년도 세입·세출 예산안 10조9770억원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했다고 11일 밝혔다. 올해 본예산보다 2492억원(2.3%) 늘어난 규모다.
전북도는 정부의 재정 운용 기조 변화와 지방소멸 대응이 국가적 과제로 떠오른 상황에서 내년도 예산안을 ‘체감형 민생회복’과 ‘미래성장 산업 실증’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지방채 발행 규모를 올해 2000억원에서 내년 500억원으로 대폭 축소하는 등 재정 건전성 확보에도 방점을 뒀다.
주요 편성 내역을 보면 소상공인과 청년층을 위한 직접 지원이 늘었다. 전북 소상공인 든든보험, 희망채움통장, 육아안정 특례보증 확대 등 위기 대응형 금융정책을 새로 도입하거나 확장했다.
청년·신중년 대상 일자리 사업과 웹툰·에너지·디지털 인재 양성 프로그램으로 일자리의 다양성과 지속성도 확보했다. 지역사랑상품권 1조7000억원 규모 발행, 전통시장 축제 활성화 등 소비 순환 구조를 활성화해 지역 상권 회복의 체감도를 높일 계획이다.
내년도 예산의 핵심은 실증과 상용화 중심의 미래산업 전환이다. 전북도는 이차전지, 새만금, 바이오, AI를 중심으로 산업 전주기 지원 체계를 완성한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이차전지 생태계를 강화하고, 새만금권 산업지구에서는 수전해 수소생산 실증·자율운송차 실증·해양모빌리티 혁신허브 구축 등 산업 지능화를 추진한다.
AI 분야는 제조, 의료, 농업 등 실물 산업에 접목되는 피지컬AI를 집중 육성한다. 250억원 규모의 관련 펀드 조성을 통해 스케일업 기반을 구축할 방침이다.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기반을 다지기 위한 준비사업도 포함됐다. 국가 승인 절차 대응, 국제 스포츠외교 네트워크 확장, 대회 유치 타당성 확보 등 실질 준비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내년 예산은 단순한 규모의 문제가 아니라, 도민 삶의 변화를 실현하고 미래로 가는 방향성을 재정으로 뒷받침한 결과”라면서 “성과 중심의 실행력을 높여 정책 효과가 현장에서 체감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주=최창환 기자 gwi122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