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이치 사나에(사진) 일본 총리가 대만 유사시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언급한 뒤 중·일 간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다. 중국 외교관이 소셜미디어에 극언을 올리자 일본 정부는 강하게 항의했다.
10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쉐젠 주오사카 중국 총영사는 전날 엑스에 “‘대만 유사가 곧 일본 유사’는 일본의 일부 머리 나쁜 정치인이 선택하려는 죽음의 길”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패전국으로서 이행해야 할 승복 의무를 저버리는 매우 무모한 시도”라며 “이성적으로 대만 문제를 생각하고 패전과 같은 민족적 궤멸을 다시 당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날을 세웠다.
앞서 지난 7일 다카이치 총리는 중의원에서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과 관련해 “(중국이) 전함을 사용해 무력행사를 수반한다면 존립위기 사태가 될 수 있는 경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존립위기 사태는 일본이 직접 공격받지 않더라도 밀접한 국가·지역이 공격받아 일본이 위기에 처할 수 있는 상황을 뜻한다. 일본 현직 총리가 대만 유사시를 상정해 자위권 행사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이에 쉐젠 총영사는 지난 8일 다카이치 총리를 향해 “그 더러운 목을 벨 수밖에 없다”는 위협적인 글을 올렸다가 삭제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기하라 미노루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쉐젠 총영사의 글에 대해 “매우 부적절하다”며 외무성과 주중 일본대사관이 중국에 강하게 항의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외교관의 개인적 글”이라며 오히려 일본을 비난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에 대해 “강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한다”고 밝혔다.
다카이치 총리는 이날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대만 유사시 대응과 관련한 발언에 대해 “최악의 경우를 가정한 것이었다”며 “철회하거나 취소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이어 “특정 사례를 상정해 명확히 말하는 것은 앞으로 주의를 기울이겠다”면서도 “존립위기 사태는 실제 사태의 구체적 상황에 따라 종합해 판단한다는 기존 정부 견해에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