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정부 사상 최장기간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이 끝나도 그 후유증은 작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 사업 계약 비중이 높은 업체들은 셧다운 장기화로 이미 직격탄을 맞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등에 지원돼야 할 미국산 무기들도 제때 공급되지 않았다.
9일(현지시간) 미국 매체 악시오스가 국무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셧다운 기간 중 나토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50억 달러(약 7조2700억원) 규모의 무기 수출은 차질을 빚었다. 무기 수출을 위해 필요한 의회 보고 절차를 진행하고 승인을 마무리하는 국무부 직원 상당수가 셧다운으로 휴직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정부 수주 사업 매출 비중이 큰 방산·기술 컨설팅 및 IT 업체들도 셧다운 여파에 타격을 입었다. 일부 기업은 단기채를 발행해 긴급 현금자금을 확보하고, 임원 급여를 삭감하거나 직원들을 무급휴가로 돌리는 등 비용 절감에 나섰다. 안보·방위 컨설팅업체 부즈앨런해밀턴은 “매일 100만 달러(약 14억원)의 매출이 사라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의 사업 전망은 셧다운 종료 이후에도 밝지만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DOGE)가 시행한 부처 예산 삭감 및 인력 감축 효과가 누적된 상황에서 셧다운 타격까지 더해져 회복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미국 기술산업 연구기관 테크놀로지비즈니스리서치의 존 코우시스 연구원은 “셧다운 전부터 (정부 사업) 조달 담당자가 부족했다. DOGE가 대부분 부처에서 인력감축을 단행했기 때문”이라며 “새로운 사업을 논의할 담당자조차 부재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