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건설 계획이 발표된 지 올해로 10년째를 맞지만, 도민사회에서는 여전히 찬반 대립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와 최근 새만금 신공항 기본계획 취소 판결까지 더해지며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제주도연맹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제주도연합은 제2공항 발표 10년을 맞은 10일 성산읍 광치기 해변에서 도청까지 상여를 싣고 제주도 반바퀴를 도는 반대 행진을 벌였다. 진보당 제주도당은 기자회견을 열어 오영훈 제주도지사에게 도민 직접투표를 제안했고, 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는 오일장 선전전과 도민 결의대회를 예고하며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반면 찬성 측인 제2공항범도민추진위원회는 제2공항의 정당성과 필요성을 피력하며 조속한 추진을 요구하고 있다.
제주특별법에 따라 구성된 갈등 조정기구인 제주도사회협약위원회는 이날 ‘제주 제2공항 갈등 10년’에 대한 메시지를 통해 “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해야 할 일차적인 책임은 국토부에 있지만, 그간 충분한 노력이 부족했던 점은 유감”이라면서 “갈등을 줄이기 위해 이제 남은 가장 중요한 절차는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환경적 쟁점을 철저히 검증하고, 10년 전 예측된 항공 수요를 재진단해 타당성을 확보하는 작업”이라고 강조했다.
환경영향평가 초안은 사계절 조사 결과를 포함해 내년 8월쯤 나올 예정이다. 제주도는 다른 지역과 달리 제주특별법에 따라 제주도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회 심의와 도의회 동의를 거쳐야 한다.
국토부는 제주도청 출입기자단과의 서면 인터뷰를 통해 “기본설계, 실시설계 등 사업 추진 단계마다 수요예측 재조사를 면밀하게 시행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제주도와 공유해 항공 수요에 대한 논란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은 제주공항 포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015년 추진을 시작했다.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 550만6000㎡를 입지로 선정하면서 환경적 위험 요소 상존, 수요 예측의 신뢰성 부족 등으로 갈등이 지속돼왔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