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 ‘캐시카우’ 두산밥캣의 자회사인 두산밥캣코리아에서 발생한 100억원대 입찰 담합 사태에 연루된 전직 임직원과 협력업체 직원들이 검찰에 송치됐다. 경찰은 사태의 몸통으로 지목되는 두산밥캣 전직 고위 임원의 배임·횡령 혐의에 대한 고강도 수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6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경찰청 반부패수사대는 지난달 말 두산밥캣코리아 전 직원 1명과 협력업체 임직원 15명 등 총 16명을 금품 수수 혐의 등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앞서 두산밥캣은 지난해 7월 두산밥캣코리아에 대한 경영 진단 및 내부 감사에서 전현직 임원들의 배임 정황을 적발했다고 공시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두산밥캣코리아는 두산밥캣의 100% 자회사다. 두산밥캣이 2021년 지게차 생산 업체 ‘두산산업차량’을 인수한 뒤 현재 사명으로 변경됐다.
회사 측은 당시 내부 감사를 통해 전직 고위 임원 A씨가 개인 소유 건물을 지으면서 협력업체에 조경 공사와 정원 관리 등을 시키고 그 대가로 해당 협력업체와 입찰 담합 등을 벌인 정황을 포착했다. 그 과정에서 수억원대 금품도 오간 것으로 조사됐다. 두산밥캣코리아 전직 임직원들과 협력업체 직원들이 벌인 입찰 담합의 규모는 100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지난해 배임 수사 의뢰를 받은 뒤 올해까지 수차례 두산밥캣 본사와 피의자 거주지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해 피의자들의 입찰 담합 및 금품 수수 혐의를 확인했다.
경찰은 이들에 대해 원자재 구매 시 시세보다 가격을 높게 책정하거나 내부 공사비를 부풀리는 등 배임 관련 혐의도 계속 수사 중이다. 특히 A씨는 협력업체에 일감을 몰아주는 대가로 금품을 수수하고 접대를 받은 의혹도 받는다. 다만 A씨는 당시 내부 감사 과정에서 관련 의혹을 전면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의혹의 정점에 있는 A씨에 대한 추가 수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경찰은 그동안 확보한 증거를 바탕으로 A씨의 배임·횡령 혐의 입증에 주력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두산밥캣은 향후 준법 통제 활동을 강화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두산밥캣 관계자는 “내부 감사에서 선제적으로 문제점을 발견해 조치했고, 이슈가 발견된 분야에 대해 강화된 내부통제 활동을 설계하고 운영하고 있다”며 “조직적이고 전방위적인 부패를 예방할 수 있도록 순환근무 등 유연한 인력 운영체계를 강화했다”고 말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