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 명심해. 대기업 25년 차 부장으로 살아남아서 서울에 아파트 사고, 애 대학까지 보낸 인생은… 위대한 거야.”
대기업 부장 김낙수(류승룡)는 남 부럽지 않은 인생을 살아왔다고 자부한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높은 경쟁률을 뚫고 대기업에 당당히 입사해 진급 누락 한번 없이 부장 자리에 올랐다. 번듯한 서울 자가에 살며 아들을 명문대에 보냈다. 이룰 건 다 이뤘는데, 마음 한구석이 휑하다. 집에서도 회사에서도 자신이 외톨이처럼 느껴진다.
JTBC 토일드라마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 부장 이야기’(이하 ‘김 부장 이야기’)가 요즘 중년 남성들 사이에서 화제다. 지난달 25일부터 방송돼 넷플릭스에서도 공개 중인 작품을 두고 너도나도 “내 얘기”라며 열렬한 공감을 표한다. 현실 고증에 충실한 ‘극사실주의’ 드라마로 입소문을 타며 넷플릭스 국내 TV쇼 부문 시청 1위를 차지했다.
송희구 작가가 실제 대기업 근무 시절 쓴 동명 소설이 원작이다. 선배의 승진을 위해 후배 팀원들의 인사고과 점수를 몰아주거나 지방 발령으로 사실상 퇴사를 종용당하는 장면 등이 현실적으로 그려진다. 지방으로 좌천된 동기를 동정하며 ‘내가 아니라 다행’이라고 안심하던 낙수 본인도 같은 처지가 되고 만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실제로 부장 이후 승진을 못 하면 회사를 떠나야 하는 현실”이라며 “이런 설정이 중장년 남성 시청자들의 큰 공감을 얻고 있다”고 짚었다. 윤석진 드라마평론가는 “직장인의 불안정한 현실을 잘 보여준다. ‘드라마로까지 봐야 하냐’ 싶을 정도로 사실적”이라고 말했다.
낙수의 삶은 비교와 경쟁의 연속이다. 회사가 주목하는 성과를 내고 상사에게 잘 보이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전문대 출신이라 무시하던 후배가 옆 팀 부장이 돼서 앞서가니 불안하다. 강남 고급 아파트를 보유한 후배, 건물주 동창, 부동산 투자로 큰돈을 번 부하직원에게 느끼는 미묘한 열패감 또한 사실적으로 그려진다.
여성 시청자들을 겨냥한 보통 드라마와 달리 중년 남성을 주인공으로 세운 점이 특징이다. 중년의 초라함을 비추면서도 경쾌함을 놓치지 않는다. 특히 낙수의 ‘꼰대’ 면모가 드러나는 장면이 웃음 포인트다. 밉상일 수 있는 낙수에게 짠한 마음이 드는 건 배우 류승룡의 친근하고 능청스러운 연기 덕분이다. 류승룡은 최근 제작발표회에서 “(50대인) 지금 내 상황과 같다. 아직 젊다고 생각하지만 그렇게 보지 않는 시선이 느껴지고 ‘영포티’라는 슬픈 말도 듣는다”며 “누군가의 미래이자 과거, 혹은 현재를 담고 있다. 나를 투영하게 되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중년 남성 이야기를 통해 세대 공감을 끌어낸다는 분석도 있다. 공희정 드라마평론가는 “소통 부재의 시대에 아빠와 아들, 상사와 부하직원 등 세대 간 역지사지를 통해 서로 존중하자는 메시지를 전하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