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전남·경기·부산 ‘분산 특구’ 지정

입력 2025-11-06 00:55
전남해상풍력1단지 현장 사진. SK이노베이션 E&S 제공

제주시와 전라남도, 경기 의왕시, 부산 강서구가 제1호 분산 에너지 특구(분산 특구)로 5일 최종 선정됐다. 이들 지역은 앞으로 한국전력공사를 거치지 않고 발전사와 소비자가 직접 전기를 사고팔 수 있는 직거래 특례를 적용받는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날 김성환 장관 주재로 제36차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분산특구 후보지 7곳 중 4곳을 지정했다. 특구는 에너지를 쓰는 지역에서 직접 생산해 쓰는 체계를 만들기 위해 도입돼 올해 2월부터 지정 사업이 본격화됐다. 분산에너지는 사용하는 지역 근처에서 직접 생산하는 전기로 재생에너지,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40메가와트(㎿) 이하 규모의 발전설비 등이 포함된다.

이번에 지정된 지역들은 다양한 전기 요금제와 전력 신산업 실증이 가능한 제도적 기반을 갖추게 된다. 또 모두 ‘신산업 활성화형’으로 분류된 곳들로 분산에너지와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해 특례를 활용한 신산업 발굴을 주도한다. 대표적으로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태양광·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연결해 실시간으로 전력 수급을 조절하는 ‘가상발전소(VPP)’ 사업이 있다.

예컨대 부산 강서구에서는 대규모 ESS를 설치해 산업단지·항만·데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 지역에서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이 추진된다. 경기 의왕시에서는 공원에 태양광과 ESS, 전기차 충전소를 연결해 낮에 생산한 전기를 저장했다가 남는 전력으로 수익을 내는 사업을 진행한다. 탈락지 3곳(경북 포항시·울산 미포산업단지·충남 서산시)은 차기 위원회에서 재심의될 예정이다.

에너지위는 이날 제7차 에너지 이용 합리화 기본계획도 확정하며 2029년까지 국가 에너지소비를 기준수요(BAU·별도의 절감 노력 없이 현재 소비 추세가 유지될 경우의 예상 수요)보다 4.7% 줄이고, 에너지원단위(국내총생산 1000달러 생산에 투입되는 에너지)를 8.7% 개선하기로 했다. 특히 정부는 에너지 수요 감축을 위해 데이터센터를 전력 다소비 특별관리 대상에 포함했다. 전국 데이터센터의 전력 효율을 전수 조사해 매년 관리하고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 신고 대상에도 새로 추가했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