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와 원화가치가 이틀 연속 급락했다. 5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17.32포인트 내린 4004.42포인트로 장을 마감했고 원·달러 환율(1449.4원)도 11.5원 급등하며 1450원선에 바짝 다가섰다. 주식시장에서는 7개월만에 선물거래를 일시 중단하는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다. 이틀간 코스피는 5% 이상 빠졌고 환율은 20원 이상 뛰었다. 최근 인공지능(AI) 업종의 고평가 우려가 커진 게 세계 금융시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코스피는 올 들어 세계 최고 수준인 70%이상 급등하며 과열 조짐을 보였다는 점에서 일시적 조정은 예상했던 상황이다.
오히려 이럴 때 당정이 기업의 성장을 돕고 시장의 거품을 뺄 정책 마련에 나설 기회로 여겨야 한다. 하지만 정작 정부와 여당 주요 인사들이 부적절한 발언으로 시장에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이날 장중 4000선 붕괴 뉴스에 “국민 심리에 미치는 영향이 커 ‘붕괴’ 용어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주가 4000을 돌파했을 때 “코리안 프리미엄” “정책의 결과”라고 환호하던 여당이 주가가 떨어지자 기사 표현부터 지적하는 건 어이없다. 얼마나 주가 추이에 일희일비했으면 이러겠나. 금융위원회 권대영 부위원장은 방송에서 “빚투를 나쁘게만 봤는데 레버리지(차입 투자)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감내 가능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부연했지만 빚을 내 주식투자하는 걸 부추기는 뉘앙스가 역력하다.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투자하는 ‘신용융자’가 사상 최대치(약 26조원)에 근접해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와중에 금융 안정을 최우선으로 해야 할 당국자가 할 소리인가.
요즘 정부·여당은 주가에 올인하다시피 한다. 여당이 코스피5000특별위원회를 띄우는 등 부동산 여론 악화를 주가 상승으로 막아 보려 한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코스피 5000은 상징적 지표이지 정책 목표가 될 순 없다. 주가가 경제의 거울이란 점에서 기업 경쟁력과 투자 환경을 강화하는 대책에 집중하는 게 주가 상승을 이끄는 길이다. ‘노란봉투법’ 등 불확실성을 키우는 각종 규제와 정책 리스크를 개혁하는 것이 빚투 조장보다 우리에겐 더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