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열린 경남도 국감이 생중계 되지 않은 사실을 두고 ‘의도적 불방’, ‘알권리 침해’ 등 뒷말이 무성하다. 경남도 국감에선 박완수 지사와 명태균씨가 맞붙는 장면이 수차례 나왔다. 특히 박 지사 공천에 명씨 개입 여부, 명씨 처남 부정채용 의혹 등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이를 사전에 예상한 경남도가 의도적으로 생중계를 꺼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같은 날 국감을 받은 경남경찰청도 전 과정을 생중계 했다. 생중계 장비 등이 부족한 경남경찰청은 이를 위해 800만원을 들여 전문업체 인력을 배치해 경남도와는 판이한 모습을 보였다.
경남도는 “평소에는 잘 되다가 주소창을 입력했을 때 버퍼링이나 화면 끊김 현상 등 기술적인 문제가 있어 생중계를 하지 못했다”며 장비노후 등을 이유로 제시했다.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청년위원회는 5일 기자회견을 열고 경남도 국감을 ‘깜깜이 국감’으로 규정했다. 청년위는 “평소에는 잘 되다가 버퍼링이 생계 생중계를 하지 못했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며 “결국 경남도민은 (도가)보여주지 않으려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 “지난 2022년 경남도 국감 역시 생중계되지 않았다. 국정감사는 국민이 행정을 감시하기 위한 제도적 권한”이라며 “그 과정을 도민이 지켜볼 수 있도록 조치하지 못한 것은 도민의 권리를 박탈한 행위로 박 지사의 사과와 재발방지 대책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국감 현장 대부분은 국회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과 NATV 유튜브 채널에서 생중계된다. 다시보기 역시 국회 영상회의록 시스템이나 유튜브로 가능하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