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고통 자체가 아니라 사람들이 자신의 고통을 비하한다는 고통이다.’(수전 손택)
타인의 질병을 우리 몸으로 직접 아파할 수 없기에 그 고통을 상상하고 무언가에 빗대어 질병을 추측한다. 일종의 은유처럼. 손택은 에세이 ‘은유로서의 질병’에서 암에 대한 은유들을 지적했다. 여기서 은유란 수사적 표현이 아니라 질병을 바라보는 사고의 틀이다. 손택은 질병에 대한 은유가, 즉 질병을 두고 사람들이 상상하는 방식이 어떻게 질병을 왜곡하는지, 그로 인해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의 고통을 왜곡하는지를 말한다. 우리는 어떤 질병에 대해 가지는 통상적인 생각이 편견일 수 있다는 사실을 잘 깨닫지 못한다. 누가 중병에 걸렸다면 뭔가 병들 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 성격이나 습관이 원인이라는 단정. 그 병은 으레 어떤 병이라는 편견, 심지어 질병을 잘못 살아온 환자의 탓이라거나 질병은 인과응보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은유는 이미지라고도 할 수 있다. 암 환자라고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로 그들을 바라보게 되는 통상적인 시각과 환자에게 씌운 이미지를 손택은 비판하고 걷어내고자 했다. 암은 불행일 뿐이고 환자는 아플 뿐인데. 환자는 질병뿐 아니라 타인의 시선 때문에도 아프다.
손택이 글을 쓴 지 40여년 뒤 한 작가가 손택의 글에 자신의 의견을 보탠다. 유방암 환자였던 앤 보이어는 자신의 책 ‘언다잉’에서 보편적인 암 환자들이 아니라 개별적 암 환자를 이야기하자고 한다. 손택이 암에 대한 은유를 걷어내고 환자들의 고통에 대해 말했다면, 보이어는 질병의 이름으로 일반화된 환자들의 고통이 아니라 ‘바로 그 환자’의 고통을 말하고자 했다. 고통은 암 환자의 몸속에 있는데 고통이 환자의 몸을 떠나 우리의 생각 속에 존재하는 것처럼 암을 말하곤 한다. “이 암은 주로 어떠어떠합니다.” 여기에서 ‘당신’은 빠져 있다. ‘언다잉’에서 보이어는 자신의 유방암, 자신의 투병기, 자신의 고통을 이야기한다. 질병의 이름 앞에 자신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자신은 곧 몸이다.
암은 추상적 질병이 아니라 구체적 현실이다. 보편적 고통이 아니라 개별적 몸의 사건이다. 개념으로 상상하는 고통이 아니라 몸으로 견뎌내는 고통이다. 암 환자를 우리가 가진 해석의 틀 속에서 바라보려는 시각, 그 환자도 전형적인 암 환자의 고통 속에 있으리라는 가정으로 인해 한 사람의 고통은 잊히거나 또는 가중된다. 우리는 똑같이 아프지 않고 각기 다르게 아프다.
유튜브의 시대는 미디어를 통해서 질병에 대한 은유가 생성되고 전파된다.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정보들로 고통을 해석한다. 미디어는 질병을 쉽게 이해하도록 인식의 틀과 정보를 제공한다. 질병은 추상화된다. 그래서 타인의 고통을 공감하지 못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너무 쉽게 공감하기도 한다. 손쉬운 공감과 피상적인 연민은 도리어 고통을 비하한다. 그들의 몸이 아픈 대로가 아니라 우리가 아픔을 생각하는 대로 공감한다. 암 환자에게 대뜸 “긍정적 태도를 유지하세요”라는 말이 튀어나온다. 이런 말은 몸에 가닿지 못하고 몸을 변화시키지도 못한다. 암에 대한 인식 개선을 명목으로 화려한 행사를 개최하기도 한다. 이런 것들은 우리가 타인의 고통을 말하는 데 얼마나 미숙한지 말해준다.
타인의 고통은 함부로 말할 수 없다. 그렇다고 고통을 말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고통을 왜곡하는 은유를 걷어내고, 고통에 신중히 귀 기울이고, 고통의 획일화 속에서 차이를 찾아낸다면 타인의 고통을 이해하는 언어를 발견할 수 있다. 말을 처음 배우듯 고통을 말하는 언어를 다시 배워야 한다. 그것은 미디어 속 언어가 아니라 환자의 사연과 몸이 말하는 언어일 것이다.
김대현 창원파티마병원 흉부외과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