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이제 인공지능(AI)은 스케일(규모) 경쟁이 아닌 효율 경쟁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며 “효율적 AI 솔루션을 만드는 것 자체가 SK그룹의 미션”이라고 밝혔다.
최 회장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전 세계적 AI 수요 폭증과 공급 병목 현상을 설명하며 이렇게 말했다. SK AI 서밋은 그룹 차원의 AI 경쟁력을 소개하고 세계 빅테크 리더들과 AI 동향 및 미래를 논의하는 자리다.
최 회장은 “AI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 새로운 컴퓨팅 파워에 대한 공급이 수요 성장세를 따라가기 어렵다”며 “효율성을 높여야 (AI 관련) 자원이 적은 나라도 AI에 쉽게 접근하고 혜택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SK가 집중할 분야로 메모리 반도체 생산·기술 향상, AI 인프라 확충, AI 활용을 제시했다.
그는 “너무 많은 기업으로부터 메모리 반도체 공급 요청을 받고 있어서 어떻게 다 소화하나 걱정”이라며 “청주 공장과 용인 클러스터로 생산 능력을 높이고 초고용량 메모리칩 등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도 우리에게 더이상 개발 속도 관련 얘기는 안 한다”며 SK하이닉스의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도 드러냈다.
최 회장은 “AI 문제를 AI로 푸는 것”이라며 ‘AI 팩토리’를 통한 제조 혁신도 제시했다. 그는 “엔비디아와 협업해 메모리칩 생산에 AI를 적용하는 것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며 “SK하이닉스에 특화된 가상 공장을 통해 생산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궁극적으로 생산공정을 완전 자율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앤디 제시 아마존 CEO의 영상 메시지도 공개돼 SK의 글로벌 파트너십을 부각했다. 올트먼 CEO는 “각 개인이 지능형 AI 비서를 계속 활용하려면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고 SK와 같은 파트너십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제시 CEO도 SK와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울산 AI 데이터센터 협력을 언급하며 “반도체 성능 개선이 AI 인프라 개선의 필수로 꼽히는 가운데 SK는 아마존의 대표적인 AI 솔루션 확장 파트너”라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