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한국판 랜드셋 ‘농림위성’ 내년 발사

입력 2025-11-04 00:42
농촌진흥청과 우주항공청, 산림청이 공동 개발 중인 농림위성 '차세대중형위성 4호'. 농촌진흥청 제공

한국도 이르면 내년부터 ‘농림위성’ 보유국이 된다. 농림위성을 확보하면 그동안 지상에서만 해왔던 농지 이용 상황이나 농경지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기후변화로 재배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생기는 셈이다. 한국 농업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농촌진흥청은 우주항공청, 산림청과 공동 개발 중인 ‘차세대중형위성 4호’를 내년 중 발사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차세대중형위성 4호는 농업에 특화한 위성이다. 농업에 유효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파장 대역의 센서를 갖췄고, 한 번에 넓은 지역을 자주 찍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식생변화 관측을 할 수 있는 5개의 근적외선 분광 밴드가 탑재된 공간 해상도 5m의 전자 광학카메라가 핵심 역할을 맡는다. 위성이 찍어 송출하는 데이터는 농진청이 지난 5월 출범한 농업위성센터가 수집해 관리하게 된다. 농진청 관계자는 “이 카메라로 매일 촬영하면 3일 안에 한반도 전체 영상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이 1972년 도입한 농림위성 ‘랜드샛(Landsat)’이나 유럽연합이 1993년 도입한 위성 정보와 같은 능력을 한국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위성 발사 시 농업 정책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주요 작물의 면적과 생육 상황을 추정해 작황 정보를 정확하게 판별해낼 수 있게 된다는 점이 가장 큰 혜택이다. 작물 생산량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면 그만큼 국내 수급 조절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연중 농지 이용 변화를 연속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그동안은 직접 눈으로 보거나 설문을 통해 농지 이용 변화를 점검해왔다.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한 만큼 넓은 지역이나 사람이 갈 수 없는 지역에 대한 정보 수집에 한계가 분명했다. 위성을 가동하면 이 문제가 해결된다. 그만큼 농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기후변화 대응력 강화도 차세대중형위성 4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이다. 생육 이상 현상이나 재해 피해를 신속히 탐지해내면 그만큼 농업 재해 대응력을 강화할 수 있다. 한반도 외 다른 지역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는 점도 있다. 위성정보 활용과 관련해 국제 협력을 끌어낼 수 있는 하나의 무기를 손에 쥐는 셈이 된다. 농진청 관계자는 “위성 수집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하면 이를 활용한 새로운 농산업이 발굴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