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현금 이벤트 올해 11% 급증… “시장 질서 훼손 우려”

입력 2025-11-03 00:19

올해 국내 증권사들의 현금성 이벤트 비중이 지난해 대비 11%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 당국은 과도한 현금성 이벤트가 시장 질서를 훼손할 우려가 있다며 관련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10개 종합금융투자사(종투사)가 운영하는 전체 이벤트 중 현금성 이벤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평균 28.22%에서 올해 10월 기준 31.56%로 3.34% 포인트(약 1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현금 지급 이벤트를 가장 많이 진행한 곳은 대신증권으로 전체 이벤트 중 55.81%가 현금 지급 이벤트였다. 두 번째는 NH투자증권으로 지난해 16.67%에서 올해 54.29%로 225.67% 급증했다. 키움증권은 43.6%로 3위였지만 운용 비용 기준으로는 1위(159억1400만원)였고, 유일하게 100억원을 넘겼다. 이어 미래에셋증권(37.74%) 한국투자증권(35.54%) KB증권(25.53%) 신한투자증권(24.42%) 삼성증권(21.99%) 하나증권(16.67%) 메리츠증권(0%) 순이었다.

현금성 이벤트 확대는 이상거래 발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일례로 키움증권이 지난 3월 진행한 한도 없는 현금 이벤트 도중 일부 고객이 대상 종목인 미국 단기채 상장지수펀드(ETF)를 반복적으로 사고팔아 일별 전체 해외주식 약정금액 중 이들 ETF가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키움증권은 자전 거래를 방조하고 거래량을 부풀렸다는 비판에 해당 종목들을 이벤트에서 제외했다.

금감원은 관련 제도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지난 27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 금융부문 종합국정감사에서 현금성 이벤트와 관련해 “점검과 개선이 필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전반적으로 불건전 영업행위로 시장의 공정한 경쟁 질서를 저해하는 부분, 소비자 후생까지 침해하는 결과까지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금감원은 현금성 이벤트가 투자 판단을 왜곡하지 않도록 사전 심사와 상시 점검 체계 등 실질적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은현 기자 e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