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둥(51) ‘중심교회 더 허브(The Hub)’ 목사의 명함엔 그의 사진이 큼지막이 실려있다. 동물 캐릭터 인형을 목에 걸고 눈을 크게 뜬 채 입을 벌린, 여타 목회자 사진에선 보기 힘든 모습이다. 이 예사롭지 않은 사진은 이 목사가 대표로 있는 다음세대 사역단체 키즈워십 홈페이지 단체 소개란에도 게시돼있다. 사진 아래엔 ‘행복한 어린이 예배자를 세우는 일에 쓰임 받는 주님의 종’이란 문구가 적혀있다.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도 같은 사진을 쓴다”며 너털웃음을 짓는 이 목사를 지난 28일 경기도 성남시의 교회에서 만났다. 이날 그를 만난 교회는 강남연동교회(홍정근 목사) 예배당이기도 하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소속인 두 교회는 현재 예배 공간을 공유하고 있다.
세상에서 가장 의미 있는 일
이 목사는 목회자 가정에서 자랐다. 호서학원 제6대 이사장 등을 역임한 고(故) 이순 천안중앙교회 원로목사가 그의 부친이다. 1남 2녀 중 막내인 이 목사는 원래 목회에 관심이 없었다. 한국외대서 독일어를 전공한 그는 독일에 이어 프랑스에서 언어 연수를 하다 진로가 고민돼 초교파 수도공동체인 떼제 공동체를 찾았다. 일주일간 기도하던 중 한 독일인 청년을 만났는데 이 만남이 그의 삶을 바꾸는 계기가 됐다. 이 목사는 “알고 보니 독일 BMW 엔지니어였는데 자기 기술로 돈보다 하나님께 영광 돌리고자 기도 중이었더라”며 “나도 ‘의미 있는 일을 하며 살자‘는 깨달음을 얻었다”고 말했다.
평소 아버지가 “세상에 이만큼 의미 있는 일이 있겠냐”고 말씀한 걸 떠올린 이 목사는 2001년 장로회신학대 신학대학원(신대원)에 진학했다. 신대원을 다니며 서울 명성교회에서 교육전도사로 사역한 그는 오래지 않아 잊지 못할 경험을 한다. 당시 맡고 있던 아동부 제자가 갑작스레 세상을 떠난 것이다. 초등학교 1학년인 제자의 장례식장을 다녀오며 그는 아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매 순간이 소중하다는 걸 절실히 깨닫는다. 이 목사가 이 교회에 몸담은 8년간 아동부만 고집한 이유다.
교회 사역뿐 아니라 어린이 대상 신앙 캠프에도 여럿 참여한 그는 2008년 연동교회로 사역지를 옮기고 ‘키즈워십’을 출범했다. 단회성 캠프나 집회만으론 신앙 성장이 어려우니 교회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영상 교재를 직접 보급하겠다는 계획이었다. 애초 ‘야채극장 베지테일’ 등 유명 해외 기독 자료를 활용해 배포하려 했으나 저작권료가 문제였다. 이 목사가 다음세대 기독 자료 창작에 꾸준히 공들이는 이유다. 그는 “여러 집회에서 만난 창의적인 사역자들 덕에 노래 등 창작 자료를 함께 만들어 전국 교회에 보급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MK 삼촌
다음세대 교회학교 교재를 만들다 보니 해외 곳곳의 한인 선교사에게 문의가 왔다. 현지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교회학교 교재가 전무하니 이를 제작해달라는 의뢰였다. 그는 ‘예수님 이야기’ ‘다윗 이야기’ 등의 키즈워십 자료를 한인 선교사와 협업해 사전 번역 후 현지를 방문해 원어민과 녹음하는 형식으로 영상 자료를 제작했다. 이런 식으로 완성해 유튜브에 공유한 40개 언어 다음세대 예배자료가 2500편에 달한다.
선교지 언어로 교재를 만들며 이 목사가 시작한 또 다른 사역이 있다. 각국 선교사 자녀(MK)의 마음을 돌보는 ‘MK 사역’이다. 그는 “선교사는 정기적으로 국내외 후원 교회나 선교대회 등에 며칠간 방문한다. 이때 MK는 부모와 함께 다녀가는 여러 곳이 낯설고 어색할 뿐”이라며 “이들에게 쉼과 충전, 배움의 기회를 주기 위해 같이 여러 곳을 다녔다”고 했다. 이집트 카이로에서 선교대회가 열리면 그가 MK를 모아 이집트 성지나 피라미드를 방문하고 수단 난민촌 병원 봉사 등을 다니는 식이다. 그는 “MK 가운데 문화 적응이 힘들어 마음이 힘든 이들, 부모에 대한 반발심으로 예수를 멀리하는 친구가 적잖다”며 “거창하진 않지만 함께 여행하고 맛집 탐방하며 이들에게 친구이자 삼촌이 돼준다. 그래선지 한국에 올 일 생기면 항상 연락한다”고 웃었다.
아이들은 밖에서 배운다
이 목사가 2012년 개척한 중심교회 더 허브엔 장년(20명)보다 초중고교생·청년 성도(37명)가 더 많다. 다음세대 성장에 주안점을 둔 목회 방침 덕이다. 서울 강남구 청담동과 논현동, 남양주시 별내동을 거쳐 3년 전 현재 이곳 예배당에 정착한 교회는 개척 이듬해부터 매년 다음세대를 대상으로 유럽과 미국 비전트립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아시아와 중동 지역 탐방도 종종 나선다. 그는 “여러 교회 다음세대 부서를 맡으며 느낀 건 ‘아이들은 앉은 자리가 아닌 밖에서 배운다’는 것”이라며 “해외 명소와 성지, 현지 교회를 방문하며 아이들은 ‘하나님은 어디나 계신다’는 걸 몸소 느낀다”고 했다. 또 “난민과 소외 이웃을 돕는 해외 기독교인을 만나보며 ‘신앙인이란 이렇게 사는 것’이라는 것도 배우게 된다”며 “그간 협업했던 한인 선교사와 현지 교회의 섬김으로 비용은 일반 여행비보다 저렴한 편”이라고 했다.
이 목사는 키즈워십과 비전트립 관련으로 2~3달에 한 번씩 해외 선교지를 방문한다. 힘겨울 때는 없는지 묻자 “하나님이 제게 맡겨준 재능과 경험, 지식에 부끄럽지 않게 살려고 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연합과 동역이 아니면 이 엄청난 사역은 불가능할 것”이라며 “하나님 나라를 함께 만들어가는 이 신나는 사역에 함께 할 수 있기에 나는 행복한 사람”이라고 말했다.
성남=양민경 기자 grie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