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점 만점에 12점이다. 멋진 회담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 부산 김해공군기지 나래마루에서 열린 100분간의 미·중 정상회담에 흡족해하며 회담 결과를 백악관 동행기자단에게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거의 모든 것에서 매우 수용 가능한 형태로 합의했다”며 “많은 결정이 이뤄졌고 남은 것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세기의 담판’에서 예상대로 무역전쟁을 휴전하는 내용에 합의했다. 관세와 희토류 통제 등 상대국에 대한 공격을 한 발짝씩 물러서며 접점을 찾았다. 하지만 짧게 주고받는 말 속에도 뼈 있는 농담, 자국의 입장을 옹호하는 우회적 발언이 녹아 있었다.
두 정상은 이날 오전 11시8분쯤 회담장에서 만났다. 2019년 일본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만난 이후 6년4개월 만이었다. 시 주석과 악수한 트럼프는 “(시 주석은) 매우 강경한 협상가다. 그건 좋지 않다”고 농담을 건네기도 했다.
트럼프는 모두발언에서 “시 주석은 위대한 나라의 위대한 지도자이며 우리는 오랫동안 환상적인 관계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도 “여러 바람, 역풍, 도전에 직면해도 중·미 관계는 올바른 길을 향해 동일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중·미 관계라는 거대한 배를 안정적으로 항해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또 “중국의 발전과 부흥은 트럼프 대통령이 추구하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와 상충하지 않는다. 양국이 함께 번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피스메이커’ 성과를 높이 평가하는 발언도 했다.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 평화에 진심이고 세계 여러 분쟁 지역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며 “가자지구 휴전협정에 기여했고 말레이시아에선 태국·캄보디아 국경과 관련한 협정을 도출했다”고 언급했다.
모두발언 후 회담은 비공개로 진행됐다. 1시간40분 만에 회담이 종료된 뒤 두 정상이 건물 밖으로 나와 악수할 때 트럼프가 시 주석에게 귓속말을 하기도 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