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미국의 대중국 관세를 일부 인하하고 중국의 희토류 통제를 유예하는 내용에 합의했다. 트럼프 집권 2기 출범 이후 관세 폭탄을 주고받으며 고조되던 미·중 갈등이 ‘일시 휴전’을 맞은 셈이다. 두 강대국의 무역전쟁에 숨죽이던 전 세계도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지만 미해결 쟁점도 여전해 미·중 전략경쟁은 수면 아래에서 계속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부산 김해공군기지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미국 워싱턴DC로 복귀하는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시 주석)는 합성마약 펜타닐의 미국 유입을 막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기로 했다”며 “나는 펜타닐 문제로 중국산 제품에 20%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하지만 오늘 그의 발언을 반영해 즉시 10%로 낮췄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이번 조치로 미국의 대중국 관세율이 57%에서 47%로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관세 인하 반대급부로 희토류 통제를 1년 유예하기로 했다. 트럼프는 “중국과 관련된 모든 희토류 문제, 장벽은 이제 사라졌다”면서 “중국이 발표한 희토류 정책은 1년 동안 유예되며 이후에는 통상적으로 연장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는 또 중국이 대량의 미국산 대두와 다른 농산물을 구매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회담에서 “양국은 깊이 있는 의견 교환을 통해 경제무역 문제 해결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상호 보복의 악순환에 빠져서는 안 된다”면서 “경제무역은 중·미 관계의 걸림돌이나 충돌점이 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다만 워싱턴포스트는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등 주요 현안 중 일부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로이터통신도 양국이 무역전쟁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지 못한 채 ‘깨지기 쉬운 휴전’에 들어갔다고 평가했다. 두 정상은 이번에 대만 문제도 거론하지 않았다.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에서 만난 이후 6년4개월여 만에 마주 앉은 두 정상은 내년에 상대국을 상호 방문하기로 했다. 트럼프가 내년 4월 중국을 방문한 뒤 시 주석이 플로리다주 팜비치나 워싱턴DC를 방문할 계획이다.
트럼프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동을 다시 추진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기자들에게 “내가 너무 바빠서 우리는 대화할 기회가 없었다”며 “김정은과 관련해서 다시 오겠다”고 말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