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골서 떨던 할머니 모습에 24년째 ‘금탄’ 날라요”

입력 2025-10-30 03:04
밥상공동체 연탄은행 대표 허기복 목사가 최근 서울 용산구 서울연탄은행에서 국민일보와 만나 인터뷰를 하고 있다. 연탄은행 제공

24년째 ‘연탄쟁이’를 자처하는 밥상공동체 연탄은행 대표 허기복(69) 목사가 처음부터 연탄 나눔에 뛰어든 것은 아니었다. 2002년 겨울 지인의 연탄봉사 제안에 “무료 급식과 집수리로 이미 벅차다”며 망설이다가 직접 확인하러 나선 강원도 원주 골목길에서 마음을 굳혔다. 연탄이 없어 이불만 뒤집어쓰고 있던 아흔 노인의 싸늘한 방은 충격이었다. 그날 이후 24년째 그는 여전히 연탄이 필요한 곳을 지키고 있다.

허 목사는 최근 서울 용산구 서울연탄은행에서 국민일보와 만나 “250원이 없어 연탄을 못 때는 그 모습을 보면서 마음이 아팠다”며 “연탄이 필요한 이들이 있는 한 그들의 마지막 보루로서 이 길을 계속 걸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연탄은행의 나눔 목표는 지난해보다 200만장 늘어난 연탄 500만장이다. 허 목사는 “연탄 때는 어르신들이 연탄 가격이 많이 올라 ‘금탄’이라 부른다. 이건 생존을 위한 금탄”이라며 “여전히 연탄을 때는 분들은 더 나이가 들었고 소득은 그대로다. 물가는 오르니 더 가난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길고 매서워진 겨울 추위와 부족한 정부 지원 현실 속에서 연탄은행이 가난한 이들의 보루가 되는 것이다.

허 대표는 발로 뛰면서 현장을 직접 확인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그는 “800가구나 연탄을 때던 서울 노원구 백사마을을 처음 찾을 때도 ‘이제는 연탄 때는 곳이 없다’던 구청 공무원의 말 대신 택시 기사에게 물어 찾아갔다”고 말했다. 전국 31개 지부를 여는 과정도 비슷했다. 2년마다 하는 연탄가구 전수조사 때는 “신발 여러 켤레가 닳는다”며 웃었다.

허 목사는 연탄 나눔을 시혜나 지원이 아닌 사랑과 나눔이라고 본다. 그는 “그분들이 가난하고 불쌍해서가 아니라 정말 우리 가족이 아프면 마음 아픈 것처럼 사랑하는 마음으로 나누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탄은행 봉사자들은 나누는 행위가 오히려 자신에게 더 큰 힘을 준다는 것도 경험으로 안다. 그는 “주는 것 같아도 사실은 받는 게 어마어마하다. 한 장에 900원 연탄을 나누면 곱절로 돌아온다”고 전했다.

허 목사는 “23년간 약 1억장의 연탄을 나누며 때론 지치고 외로웠지만 하나님의 은혜와 어머니의 기도가 힘이 됐다”고 고백했다. 매년 함께하는 자원봉사자들을 떠올리며 “대한민국은 정말 희망이 있는 나라라고 느낀다. 그리고 제가 더 겸손해야겠다는 책임감을 갖게 한다”고 했다. 그의 시선은 북녘땅에도 머문다. 코로나19 직전 평양 연탄공장 설립을 추진했던 그는 “통일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진짜 그 불씨가 뭘까 생각하고 있다”며 여전히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마음을 품고 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