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탈취’ 논란이 불거진 대기업이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된 후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을 언급하는 내용증명을 상대 중소기업 측에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는 기술 탈취 피해 기업의 국감 증언을 입막음하려 한 것으로 보고 사실 확인에 나설 계획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재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한화솔루션과 자회사 한화NxMD 측은 지난달 30일 주식회사 CGI에 내용증명을 보냈다. CGI가 “삼성과 거래하고 있는데 한화가 기술을 탈취한 뒤 삼성과 거래 중”이라고 발언한 정황을 파악했다면서 “이는 명백한 허위사실 유포로 명예훼손죄에 해당할 수 있다”고 적시했다.
이 발언은 지난달 25일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이 참석한 ‘기술 탈취 근절을 위한 현장소통 간담회’에서 나왔다. CGI 측은 한화의 기술 탈취로 인해 삼성과 진행 중이던 거래마저 중단됐다며 피해를 주장했다. 한화솔루션 측은 29일 열리는 국회 산자위 국감 증인으로 이날 채택됐다. 국감 출석 확정 5일 만에 비공개 간담회 발언 내용을 문제 삼는 내용 증명을 보낸 셈이다. 국감에는 CGI 측도 방청인으로 나올 예정이다. CGI 측은 28일 통화에서 “대기업이 이런 식으로 협박하는 행태를 알고는 있었지만, 막상 국감을 앞두고 이런 걸 받게 되니 두려웠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한화가 내용증명을 통해 기술 탈취 호소조차 하지 못하게 막은 것과 마찬가지”라며 “정부의 비공개 간담회 발언을 어떤 경로로 입수했는지부터 국감에서 따져 묻겠다”고 밝혔다. 한화 측은 “해당 발언은 간담회에 참석한 주체로부터 전해 들은 것이며 명백한 허위사실이라 대응 필요성이 있었다”며 “정당한 법적 절차에 따르지 않고 당사 신용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허위 사실의 유포 가능성을 확인하려는 조치”라고 말했다. 이어 “진정한 의지를 갖고 CGI와 인수합병 협상을 했으나 인수가격(240억원 대 400억원) 이견을 좁히지 못해 결렬됐다. 당시 제공받은 기술자료는 전부 폐기했다”고 주장했다.
한웅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