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국가상징구역’을 시민들의 자유로운 소통 공간으로 만들고, 그 중심에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이 있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됐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28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세종 국가상징구역 토론회’를 개최했다. 대통령 세종집무실 및 국회 세종의사당이 들어설 국가상징구역에 어떤 철학을 담아내야 하는지를 다뤘다. 도시·건축·역사·조경 등 분야별 전문가들은 국가상징구역의 비전과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1부 발제에서 황재훈 충북대 교수는 ‘국가상징구역의 가치와 비전’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황 교수는 “세종은 행정중심복합도시를 넘어 국가 중추기능이 집약된 행정수도로 발전하고 있다”며 “국가상징구역을 시민들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수평적·개방적 공간으로 조성하고,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을 국민 소통의 중심 공간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석재 이화여대 교수는 ‘대한민국의 정체성, 역사 공공성으로 정의하기’를 주제로 국가를 상징하는 건축이 갖춰야 할 핵심 개념을 설명했다. 그는 “먼저 국가의 정체성을 분명히 규정하고, 이를 담아낼 매체로 건축과 공간을 선택해야 한다. 그 안에 역사성과 공공성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며 “지금의 시대정신과 자랑스러운 역사·전통, 미래 세대에 전할 가치가 함께 담길 때 진정한 국가상징공간이 완성된다”고 조언했다.
2부에서는 발제자를 비롯해 김도년 성균관대 교수(도시), 송하엽 중앙대 교수(건축), 우동선 한국건축역사학회 회장(역사), 박윤진 오피스박김 대표(조경)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심층 토론을 이어갔다.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국제공모 접수는 다음 달 20일까지 진행된다. 당선작은 국민 참여 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거쳐 12월 중순쯤 발표할 예정이다.
강주엽 행복청장은 “토론회에서 제시된 다양한 의견을 적극 반영해 우리나라의 정체성과 비전이 담긴 상징공간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세종=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