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재건축을 앞둔 아파트를 ‘갭 투자’로 사들였다는 지적에 대해 “국민 눈높이에 비춰보면 마음 깊이 새겨야 할 부분이 많다는 것을 충분히 알고 있다”면서 “평생을 1가구 1주택자로 살아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답했다.
이 위원장은 2013년 서울 강남구 개포동의 재건축 아파트를 사들인 뒤 스위스 제네바 재경관 파견 등을 이유로 실거주하지 않아 논란이 불거졌다. 당시 그가 전세를 끼고 8억5000만원에 매입한 아파트의 현 시세는 약 40억원이다. 이 위원장은 “해외에 나가 있어 국내에 체류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면서도 “공직자로서 (지적을) 굉장히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서울 서초구에 아파트 두 채를 보유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도 이날 “주택 한 채를 부동산에 내놓았다”면서 “공직자 신분을 감안해 곧 처분하고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한 채를 자녀에게 양도하겠다던 지난 21일 국정감사 발언에 대해서는 “많은 국민이 주택 문제로 고통을 겪는 시점에 발언이 매우 부적절했다”면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10·15 부동산 대책의 적절성에 대해서도 공방이 오갔다.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4일 정부가 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 대환대출 담보인정비율(LTV)을 원래대로 되돌린 결정을 두고 “비판이 일자 9일 만에 정책을 뒤바꾸는 등 오락가락 ‘말 바꾸기’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반면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윤석열정부 3년 동안 서울 주택 공급이 반 토막 난 후폭풍이 지금 나타나는 것”이라고 맞섰다.
이의재 기자 sentin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