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일본이 양국 조선업 협력 강화를 위한 각서를 체결할 전망이다.
26일 요미우리신문은 복수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미·일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7~29일 방일 일정에 맞춰 조선업 분야 협력 각서를 체결하고 실무그룹을 만들 것이라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에 따르면 각서에는 조선업 관련 대미 투자 촉진 및 기술 혁신 등의 내용이 담겼다. 각서 초안에는 “강력하고 혁신적인 조선업이 양국의 경제안보, 경쟁력에 중요하다”고 명기됐다. 양국이 선박 설계, 부품 표준화, 인재 육성 강화 등을 검토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조선업은 일본이 미국과의 관세협상에서 약속한 대미 투자 5500억 달러에 포함된 협력 분야 중 하나다.
한국도 미국 조선업 재건 프로젝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를 추진 중인데, 일본이 경쟁에서 앞서 나가면서 한국에 돌아가는 수혜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조선산업 점검 보고서에서 “오랜 기간 우호적이었던 미·일 관계를 고려할 때 향후 일본이 한국과 수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미국과 패권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한국에 대한 견제를 높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보고서는 “중국 기항 비중이 높은 선주사들의 한국향 발주 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는 28일 정상회담에서 희토류 등 중요 광물 공급력 강화를 위한 협력 각서도 체결할 계획이라고 요미우리가 전했다. 희토류 공동개발을 위한 투자 촉진, 공급망 다각화 등의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앞서 조지 글라스 주일 미국대사는 일본이 관세협상을 통해 약속한 대미 투자 중 일부는 희토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방일 기간에 일본인 납북 피해자 가족을 면담하는 것에는 유보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지지통신이 보도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