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마당에 워터파크 열어… 125년 전통 깨고 지역·가정 잇다

입력 2025-10-27 03:20
최신성 계산중앙교회 목사가 최근 인천 예배당에서 시대가 요구하는 목회의 필요성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인천=신석현 포토그래퍼

올해 설립 125주년을 맞은 인천 계양구 계산중앙교회. 2008년 15대 담임목사로 부임한 최신성(58) 목사는 교회가 쌓아 올린 하드웨어 위에 시대가 요구하는 목회의 소프트웨어를 정교하게 입히고 있다. 그가 내건 기치는 ‘지역으로 스며드는 교회’다.

최 목사가 지향하는 목회의 본질은 화려한 프로그램이 아니라 지역과 가정을 잇는 실천적 구조다. 지역의 결핍을 메우는 실용성, 가정 중심의 접점, 자원봉사로 돌아가는 단순화된 구조, 그리고 세대 연결이다.

최근 교회 목양실에서 만난 최 목사는 “교인들이 청라 검단 등 신도시로 이주하면서 주중 프로그램이 무너지고 세대 간 신앙 전승도 끊기기 시작하는 것을 봤다”고 말했다. 이어 “동네 교회가 무너지고 있다는 진단에서 목회를 다시 설계해야 했다. 주일에만 교회에 들렀다 가는 교회가 되면 다음세대를 붙들 수 없다”고 짚었다.

동네의 필요 채우는 실용적 전도

그가 세운 목회의 실행 원칙은 분명했다. 최 목사의 말이다. “지역 사회에 꼭 필요하지만 다른 교회는 하기 어렵고 우리 교회에는 상대적으로 쉬운 것부터 시작했습니다.”

교회가 20년 가까이 펼쳐온 워터파크 사역은 넓은 부지와 봉사자라는 내부 자원을 활용해 동네에 없던 물놀이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멀리 가지 않아도 되는 여름은 이웃 가족들을 교회 마당으로 불러냈고, 그 만남은 자연스럽게 교회에 대한 신뢰로 이어졌다.

매년 5월 열리는 ‘패밀리 펀 페스티벌’은 가정 초청 잔치로 50여개 부스를 운영한다. 지역 기업과 협력해 신차 전시·시승 체험, 캠핑 장비 전시 등 부모와 자녀들이 모두 흥미를 갖도록 했다. 초창기엔 2000명 가까운 주민이 몰릴 만큼 반응이 컸다.

영어캠프와 해외대학 탐방은 최 목사가 미국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에서 유학 시절 연결된 네트워크를 활용해 매년 여름 교회에서 원어민 중심 영어캠프를 열고, 청소년 대상 해외 대학 탐방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서울 밖 지역 청소년에게 시야를 넓히는 전도성 사역이다.

교회 내부에선 전교인 말씀 운동, 세대 연합 예배·훈련을 꾸준히 진행한다. 행사를 위한 프로그램이 아니라 세대와 세대가 이어지는 관계의 접점을 넓히는 것이 목표다. 주중에 참여하기 어려운 가족을 위해 짧고 반복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을 마련하고 아이와 부모, 청년과 장년이 함께 배우는 구조를 기본 원칙으로 삼았다.

“교회 문화가 각 가정으로 확산해야 합니다. 교회에서 성경을 1시간 가르치는 것보다 가정의 식탁에서 나누는 10분의 영적인 대화가 더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죠.”

‘사람 없는 시대’의 교회 운영법

이처럼 세대와 가정을 중심으로 한 교육 구조를 세워가던 그는 곧 현실적인 한계와 마주했다. 교단 전반에 전도사와 부교역자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 구조적인 문제로 자리 잡은 것이다. 최 목사는 이 현실을 외면하지 않았다. 그는 교회의 운영 체계 자체를 다시 짜기 시작했다. 사람이 부족한 시대를 정면으로 돌파할 방법을 찾기 위해서였다.

사람이 줄어드는 현실 속에서도 교회 사역이 지속하기 위해선 구조의 단순화가 필요했다. 최 목사가 도입한 첫 번째 해법은 ‘모듈형 교육’이다. 기존처럼 전도사나 부교역자가 오랜 기간 맡아야만 운영되는 복잡한 프로그램 대신, 교육 내용을 짧은 단위로 나누고 시간대별로 조합할 수 있도록 재설계한 방식이다. 예를 들어 주중에는 90분, 주일에는 30분 등 상황에 맞게 조합이 가능하다.

“핵심은 전문 사역자가 없어도 누구나 감당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복잡한 커리큘럼은 전문가만 소화할 수 있지만 단순한 과정은 2주만 훈련받아도 봉사자가 충분히 감당할 수 있죠.”

두 번째는 봉사 시스템이다. 6~8주 단위로 봉사팀을 순환시켜 한 사람이 계속 매달리지 않도록 했다. 번아웃을 줄이고 지속성을 확보하는 전략이다.

세 번째 원칙은 ‘핵심 20% 집중’이다. 최 목사는 교회가 모든 영역을 감당하려 하기보다 꼭 해야 할 본질적인 사역에 자원을 모은다. 말씀과 예배, 그리고 가정을 잇는 세 가지 축이 그 중심이다.

지역 네트워크는 복음의 가속기

최 목사는 교단을 넘어 지역과의 연결을 중시한다. 지방자치단체·기업·학교와의 협력이 주민 신뢰를 높이고 교회의 공적 이미지를 새롭게 하기 때문이다.

“공식 회의보다 사람 사이의 신뢰가 일을 이끌어갑니다. 교회가 평소 지역 안에서 그런 관계를 꾸준히 쌓아두면 위기 때 가장 먼저 교회가 떠오르게 됩니다. 그 순간 교회는 말보다 삶으로 복음을 전하게 됩니다. 이처럼 교회는 지역 속에서 ‘보이는 복음’을 구현하는 새로운 길을 걷게 될 것입니다.”

인천=김아영 기자 sing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