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었던 추석 연휴. 조부모가 쥐어준 용돈 봉투를 집에 가져온 아이. 당신은 부모로서 어떤 선택을 했는가. 누군가는 “대신 맡아줄게”라며 봉투를 서랍에 넣고, 또 누군가는 돈을 아이 계좌에 입금했을 터다. 한발 더 나아간 부모도 있을 게다. 상장지수펀드(ETF)를 한 주 구매하며 소위 돈이 일하는 경험을 보여줬을지도. 자녀의 격차는 이런 짧은 순간에 시작되고, 시간은 그 차이를 복리로 키운다.
과거의 ‘금수저’는 부모의 직업, 연봉, 부동산 규모 등으로 구분됐다. 지금의 출발선은 조금 다른 곳에서 갈린다. 얼마나 일찍 금융을 배우고 익혔는가가 새로운 기준이 됐다. 부모가 돈 자체를 넘겨주는 시대는 끝나고, 이제는 돈을 굴리는 법을 물려주는 ‘금융수저’의 시대가 왔다. 국세청 자료를 보면 2023년 금융소득을 올린 미성년자는 501만명에 달했다. 이 숫자의 의미는 단순하지 않다. 어떤 아이는 세 살도 되기 전 배당금을 받고, 어떤 아이는 스무살이 돼도 금융을 배울 기회조차 갖지 못한다는 뜻이다. 부를 축적하는 능력이 가정교육 차이에서 출발하는 시대, 우리는 소득이나 학력보다 ‘금융 문해력’ 격차가 계층을 고착시키는 새로운 불평등을 마주하고 있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미래의 경제활동 능력까지 갈라지는 신 격차사회의 단면이다.
한국의 새로운 불평등 구조는 경제·사회적 요소가 누적된 결과다. 저금리와 풍부한 유동성이 부동산 시장으로 몰리면서 집값은 걷잡을 수 없이 치솟았다. 부동산 급등은 노동만으로 계층 상승이 어렵다는 인식을 만들었고, 필수 지출은 소득 증가를 앞질렀다. 외환위기 이후 불안정 노동, 저금리, 연금 불신, 고령화가 겹치며 개인은 예측 가능한 소득과 미래 안전망을 동시에 잃었다. 이제 저축하는 것만으로는 자산을 지키기 어렵다. 프랑스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가 ‘21세기 자본’에서 “자본수익률이 성장률을 앞서면 불평등은 확대된다”고 분석했듯, 금융을 이해하는 집은 복리의 시간을 누리고 그렇지 못한 집은 물가 상승의 비용만 감당하게 됐다. 투자를 일찍 자각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차이는 해마다 눈에 띄게 벌어진다. 투자는 부자가 되기 위한 욕망이 아니라 뒤처지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방어 수단에 가까워졌다.
금융 격차의 뿌리는 개인이 아니라 구조에 있다. 그럼에도 한국은 이를 개인 능력의 문제로 취급해 왔다. 금융 교육을 가정 환경과 운에 맡겨 왔다. 그 결과 금융수저와 금융문맹의 간극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정부가 개입해야 할 지점은 분명하다. 조기 금융 교육 확대다. 금융 불평등은 대다수 사람들이 그저 열심히 삶을 살아내느라 금융과 친숙해질 기회가 없었던 배경에서 비롯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대다수가 신용·세금·투자·위험 관리를 정규 교과에서 다루지만 한국은 지금도 체험수업과 캠페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금융 교육을 초중고 교과에 편입하려는 시도는 수차례 있었다. 그러나 학교가 투기를 부추긴다는 거부감 탓에 번번이 무산됐다. 그 결과 청년들은 유튜브 등에서 잘못된 금융 지식을 접하고 무리한 투자로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몰리는 경우가 빈번하다.
금융수저 시대는 이미 시작됐다. 불평등을 줄이려면 금융을 그저 태어난 환경의 운에 맡기면 안 된다. 개인이 배우고 익혀 스스로 만들어갈 수 있는 역량으로 바꿔야 한다. 평생 죽어라 일해도 노후를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는 노인 빈곤의 시대, 금융 문해력은 생계와 은퇴를 모두 관통하는 최소한의 버팀목이다. 더 늦기 전에 금융을 정규 교육 안으로 넣고 사회 전체가 국민의 문해력 향상을 공동으로 도모해야 한다. 청년의 현재를 지키고, 노년층이 노후의 삶을 스스로 설계하도록 돕는 길이다.
박세환 뉴미디어팀장 foryou@kmib.co.kr